“임대료 내고 장사하는데 군에서는 무료 좌판(농산물 직거래)을 확장해, 상인들과 주민간 갈등을 키우고 있다”
풍물시장에서 약초가게를 하는 A씨는 하루 영업을 접고 항의차, 상인들과 함께 군청을 찿았다.
24일 풍물시장 상인 100여명은 오전 군수실을 방문, 노점 좌판 확장에 대해 관계 공무원들과 한때 고성이 오가는 등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상인들은 대표자 면담문제로 오전 11시 군수면담이 이루어지지 않자, 민원실 1층 로비를 점거 농성에 돌입했다,
문제의 발단은 지난 2007년 시장설립 초기부터 매월 2일. 7일(5일장) 강화 장날에 한정, 노점상인(민속, 제일상인회 약 140여명)들과 지역 주민들에게 풍물상품과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판매할 수 있도록 군에서 무료로 노상 좌판 자리를 제공했다.
그러나 자리가 좁다는 생산 농민들의 민원을 받아드려 군이 시장 주차장 일부 약 495㎡(150평)에 대해 좌판 확장공사를 하자, 기존 시장 상인들은 협의없이 좁은 주차장을 판매장으로 변경, 확대하는 등의 특혜를 주고 있다며 그동안 쌓인 불만을 터트렸다.
현재 강화풍물시장은 시장상인회(200여명)을 비롯해 노점인 민속상인회(70명), 재일상인회(70명), 생산농가 주민(100여명)들이 영업을 하고 있다.
기존 시장상인회는 ㎡당 1층 5만원, 2층 5만9,000원의 임대료를 내고 있지만 민속상인회, 재일상인회, 생산농가 주민들은 임대료 없이 무료로 판매 장소를 배정받아 영업를 하고 있다.
특히 장날이면 주자창 주변 노상판매장에 관광객들이 몰리는 탓으로 기존 상인들과의 갈등이 이어져 왔다.
상인들은 “노상에서 판매하는 주민 대부분이 강화주민들이 아니라 외지에서 온 전문 장사꾼들로 군의 느슷한 단속을 틈타, 영업을 확장, 조직화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주민은 30%(30여명)도 되지 않는다”면서 “좁은 주차장을 노점판매장으로 확장해 이중으로 영업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반발했다.
이에대해 생산농가 B모씨는 “상인들과 달리 주로 할머니들이 직접 텃밭등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저렴하게 판매해, 관광객들의 신뢰가 높다”며 “군에서 생산농가 판매장에 섞여 있는 외지 장사꾼들을 철저히 단속하면 큰 문제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상인들과 주민들간 갈등의 골이 깊어있지만 양쪽의 모두의 주장을 외면 할 수 없어 애로사항이 많다는 것이 군 관계자의 말이다.
한편 전통재래시장인 강화풍물시장이 운영(군 경제교통과)과 관리(시설관리공단)주체가 각각 달라, 행정의 비일관성 뿐만 아니라 건물형태의 시장건축물 구조적 문제로 인해, 기능 상실과 냉온방기설치 등 막대한 예산 투자만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높다.
한의동기자 hhh6000 @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