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 가속페달 ‘씽씽’ 시민·인천시 ‘무관심 존’

[현장&] 송도 ‘에코 드라이브 존’ 유명무실

“차들이 이렇게 쌩쌩 달리는데 에코 드라이브 존이라고요?”

4일 오후 3시께 인천시 연수구에서 송도국제도시로 넘어가는 송도 2교 앞 동춘터널 앞 도로. 한산한 도로엔 시속 80~100㎞가 넘는 속도로 자동차들이 지나쳤다.

가속페달을 힘껏 밟은 것을 느낄 수 있는 자동차의 거친 엔진 소리와 바람 소리가 터널주변을 울렸다. 도로 옆에 자동차 가속페달을 밟지 않는 연료차단(에코 드라이브) 구역임을 알리는 게시판이 있고, 노면 표시도 되어 있지만 무색하기 짝이 없다.

송도에 사는 A씨(28)는 “매일 출·퇴근을 하는 도로인데, 한 번도 이 구역을 지나며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어본 적이 없다. 에코 드라이브라는 글씨를 보기는 했지만 뭐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고, 어떤 효과가 있는지도 모르겠다”면서 “경사진 곳이어서 일부 오르막길도 있는데 가속페달을 밟지 않으면 어떻게 하라는 것인지도 궁금하다. 전혀 신경쓰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인천시가 송도국제도시로 가는 도로 일부를 에코 드라이브 구역으로 지정했지만, 대다수 운전자가 이를 모르거나 지키지 않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시는 지난 2012년 말 가속페달을 밟지 않으면 자동차 연료 절감 효과와 환경오염을 줄이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위해 송도 2교 남측~신송사거리(500m)와 동춘터널~송도 2교 북측(500m) 등 2곳을 에코 드라이브 구역으로 설정했다.

그러나 개통 3년이 넘도록 대부분 운전자는 이곳이 에코드라이브 구역인지조차 모르고 있다. 도로 옆 게시판과 도로 바닥에 그려진 표시만이 에코드라이브 구역임을 알려주고 있다. 구역 지정 당시 보도자료만 배포했을 뿐 별다른 홍보가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환경·경제적 효과 등 에코 드라이브 구역 지정에 따른 효과도 확인할 수 없다. 시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구역 설정 이후 대기질 측정이나 자동차 연료 절감 효과 등 필요한 사후 모니터링 활동을 전혀 하지 않고 있다.

특히 에코 드라이브 구역인데도 오히려 과속 주행마저 잦다.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송도 2교 주변 무인 단속카메라에서 2013년 1천635건, 지난해 2천216건 등이 과속으로 적발됐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당시 환경단체와 함께 추진했는데, 이후 예산이 없어 사후 모니터링 등을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앞으로 시민에게 각종 홍보물 등으로 에코 드라이브 구역을 알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