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거품·상표 위화감 차단 교육부 부작용 예방위해 시행 업체 “예쁜 교복 개별 구매를” 교육청, 공정위 제소 조사 중
인천지역 대형 교복업체들이 학교주관 교복 구매를 방해하려는 전단을 무더기로 살포하고 있다.
15일 지역 내 일선 중·고등학교에 따르면 이달 초 학교 정문 등지에서 학교주관 구매 대신에 대형 교복업체에서 판매하는 교복을 개별 구매하라는 내용의 전단이 무더기로 살포됐다.
교육부가 도입한 학교주관 구매는 학교에서 입찰을 통해 교복을 사들여 일괄 공급하는 제도로, 교복 상표 차이에서 오는 위화감 조성 방지와 지속적으로 제기된 교복값 거품 논란을 해결을 위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지역의 학교주관 구매 평균가(동복 기준)는 개별 구매 평균가(24만 8천750원) 보다 9만 647원 저렴한 15만 8천103원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대형 교복업체인 I 업체, S 업체 등이 지역 내 일선 중·고등학교에 교복 개별 구매를 부추기는 전단을 살포해 학교주관 구매의 취지 자체를 뒤흔들고 있다.
I 업체가 살포한 전단에는 ‘학교주관 구매는 필수가 아니라 선택’, ‘예쁜 교복 개별 구매로 구입하실 수 있어요’, ‘우리가 입을 교복만큼은 우리의 주관에 맡겨주세요’ 등의 문구가 크게 적혀 있다.
또 S 업체의 전단에는 교복을 구매하는 방법으로 ‘하나는 천편일률적인 교복을 산다(학교주관 구매)’와 ‘둘은 내 마음에 쏙 드는 예쁜 교복을 산다(개별 구매)’ 등 두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심지어 이들 업체는 일선 학교에서 진행 중인 교복 구매 신청서 양식을 전단 하단에 집어넣고, ‘학교주관 교복 구매에 참여해 교복을 구하고자 합니다’ 대신에 ‘교복 물려 입기, 개별 구매 등을 통해 교복을 구하고자 합니다’에 체크 표시하도록 현혹하는 내용을 추가했다.
이를 본 한 학부모는 “학교주관 구매로 산 교복은 질 나쁜 싸구려 옷이고, 개별 구매로 대형 교복업체에서 산 교복은 예쁜 옷이라는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며 “이러한 전단에 다른 학부모가 현혹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대형 교복업체의 불공정 거래 행위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해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구체적으로 불공정 행위가 확인될 시 입찰 제한 등 행정 조치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