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단지 개발 10여년 표류 재산권 피해 빚더미 현실 망각
이번엔 미사일… 분노 폭발이달중 대책위 구성 전면전
인천경제청 “확정된 것 없다”
“용유·무의 관광단지 개발 사업으로 10년 넘게 주민의 속을 다 뒤집어 놓더니 이젠 미사일 기지 이전으로 미래까지 뺏으려는 건가요.”
영종도 미사일 기지 이전 후보지 가운데 하나인 용유도의 주민 6천여 명이 분노를 넘어 절망감까지 표출하고 있다.
주민들은 이달 중 용유도 미사일 이전 저지 주민 대책위원회(가칭)를 구성하고 대규모 집회를 벌이는 등 단체행동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주민들은 미사일 기지 이전이 그동안 피해받은 주민의 고통을 무시하고, 미래까지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003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용유·무의 일대에는 세계 최대 관광레저단지 조성이 추진됐지만, 10여 년간 지연·보류만 반복하다 2013년 좌초했다. 이로 인해 용유·무의 일대 대부분은 경제자유구역조차 해제된 상태로 주민들은 그동안 재산권 행사 제한은 물론 개발 광풍이 남기고 간 빚만 수천억 원에 달하는 실정이다.
1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국방부 등에 따르면 영종도 미단시티의 고도 제한 해소 및 사업성 확보를 위해 금산 미사일 기지 이전을 협의 중이다. 미사일 기지가 이전하면 기지 주변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심야 통행이 제한되고, 고도 제한에 걸려 100m 이상의 고층빌딩을 지을 수 없다.
주민들은 2005년 송도 개발에 밀려 미사일 기지가 영종도로 옮긴 데 이어 또다시 미단시티 개발에 밀려 용유도로 이전한다면, 향후 용유도 개발에 따라 또 다른 곳으로 이전할 것 아니냐”며 영종도 이전을 반대하고 나섰다. 특히 주민들은 아예 개발 가능성이 없는 도서지역으로 이전하거나 전술적 검토에 따라 폐쇄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김기선 대책위 공동대표는 “주민 의사는 물어보지도 않은 채 또다시 미사일 기지 이전이 추진되고 있다”며 “그동안 주민에게 상처만 준 미사일 기지를 주민의견 수렴 없이 용유도로 넘겨버리면 앞으로 누가 투자를 하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용유도가 거론된 후보 중 하나인 것은 맞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며 “최종 이전 여부나 이전지역은 아직 검토할 사항이 많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