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소택시도 아니고… 하필 매연우려 경유택시?
인천시, 국토부 요구 수용
569대 할당… 운행 ‘초읽기’
환경단체·택시노조 등 반발
인천시가 사실상 국토교통부의 경유택시 도입을 받아들이자, 환경단체와 택시노조 등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서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경유택시 도입은 인천이 녹색기후기금(GCF)을 유치하며 만든 친환경도시 이미지와도 역행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일 시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오는 9월부터 기존 액화석유가스(LPG)택시를 경유택시로 바꾸면 ℓ당 345.54원의 유가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는 등 경유택시 도입을 추진, 최근 인천에 경유택시 569대를 배정했다. 이에 따라 시는 최근 관계기관·단체 등에 이 같은 내용의 공문을 하달했다.
그러나 환경단체와 택시노조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환경단체는 경유택시를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규정하며 인천시의 경유택시 도입 철회를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환경부 용역결과 경유택시는 LPG에 비해 질소산화물을 29배 더 배출하고 환경비용도 연간 16만원 정도 더 드는 것으로 나타난 점과 경유 배기가스는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소가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는 점을 근거로 하고 있다.
㈔경인환경협회 관계자는 “서울시는 경유택시의 대기질 개선 효과가 검증되지 않아 시민 건강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국토부의 경유택시 도입을 거부했다”면서 “택시는 사실상 24시간 내내 운행, 발생 배기가스양도 많다. 인천도 시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도입을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택시노조도 하루 10~12시간씩 운전하는 택시기사들이 경유택시의 소음과 진동 등으로 인한 피로도가 높아져 안전운전에 위협이 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인천지역본부 관계자는 “LPG택시보다 경유택시가 비싼데, 이 차량가격 인상은 곧 택시기사들의 사납금 인상으로 떠넘겨질 것”이라며 “경유택시 도입은 철회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법인 택시업계도 내부 검토 결과 경유택시 도입이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고, 다만 개인택시는 찬성의견을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아직 경유택시 도입을 결정한 것은 아니다. 내부 검토중이다.”면서 “단지 국토부의 지침을 관련기관에 알렸을 뿐이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