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노인이 전체 인구의 10%를 넘어선데다, 혼자 사는 노인 수가 많아 이들에 대한 관리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30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지역 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9만7천여명이다. 이는 인천 전체 인구의 10%를 넘어선 수치로 사실상 인천도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다. 여기에 65세 이상 홀몸노인 수는 전국 광역시 중 2번째로 많고 80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은 8%로 서울보다 많다.
그러나 이들 노인 관리를 위한 사업이 시와 군·구 등에서 남발, 효과적인 지원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시는 노인돌봄서비스인 ‘노노케어’ 사업과 방문노인 건강관리 등을 시행중이고 군·구도 자체적으로 홀몸노인 안심폰 서비스 등을 시행하고 있어 상당수 중복된다.
A 구청 관계자는 “시와 산하기관 외에도 각종 노인돌봄 서비스를 하다보니 수혜자가 겹칠 때가 많고, 이를 위한 정확한 실태파악이 어렵다”고 말했다.
특히 이들 사업을 지자체에서 받아 대신 수행하는 기관도 제각각이다보니, 전체적인 서비스 대상자나 이를 위해 투입되고 있는 인력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다.
홀몸 노인 등에 대한 통합관리 체계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처럼 시와 군·구의 유사한 사업으로 인해 서비스를 받는 노인이 중복되면, 자칫 지원을 받아야 할 노인이 못받는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한다.
지역 내 한 노인복지회 관계자는 “노인보호 정책 등이 다양한 방면에 걸쳐 이뤄지고는 있지만 통합관리가 되지 않다보니 중복 서비스가 발생할 수 있고, 부족한 인력 등의 문제로 정작 서비스를 받아야 할 분들이 받지 못할 수도 있다”며 “시나 국가적 차원의 통합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올해 처음 시행된 노노케어 사업을 통해 전체적인 노인 복지 사업을 총괄할 예정이다”면서 “연말에 정산 등을 끝마치면 전체적인 지원 노인에 대한 다양한 통계 등이 파악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