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단상] 어린이도 쉽게 읽을 ‘군포의 책’ 찾기

“우리 아이들은 ‘군포의 책’을 어떻게 생각할까?”

 

한 권의 책으로 모든 시민이 소통하는 문화도시 만들기, 한 도시 한 책 읽기를 6년째 진행한 사람이 하기에는 생뚱맞은 질문을 어느 날 진지하게 궁리해 봤습니다.

 

군포는 2011년부터 매년 한 권씩, 여섯 권의 도서를 군포의 책으로 선정했습니다. 성석제 작가의 <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김려령 작가의 <가시고백>, 이순원 작가의 <아들과 함께 걷는 길>, 이종수 작가의 <그림문답>, 고미숙 작가의 <몸과 인문학>을 거쳐 올해는 배유안 작가의 <뺑덕>이 군포의 책으로 선정돼 군포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각계각층으로부터 추천을 받은 수백 권의 책 가운데, 전문가 심사와 시민 선호도 조사 등을 통해 한 권으로 추려져 선정된 군포의 책은 시민 누구나 좋아하고 읽기 편할 것이라고.

 

실제 군포시 공공도서관 6개소가 매년 집계한 대출 도서 인기 목록을 보면 군포의 책은 항상 1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배려가 부족했음을 깨달았습니다. 우연히 “몇몇 책은 아이들이 읽기에 좀 어려웠다”는 말을 듣게 된 후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늦었다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고, ‘2017 군포의 책’ 선정 방식에 변화를 줬습니다.

 

현재 시는 ‘2017 군포의 책’ 후보 도서를 찾고 있습니다. 일반·청소년, 아동(초등학생 이하) 분야로 나눠 오는 9월30일까지 추천을 접수합니다. 국내 작가의 출판 단행본이면서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읽고 소통할 수 있는 책이 추천 대상입니다.

 

어쩌면 ‘여태 뭐하다 이제야 아동 도서를 별도로 선정하느냐’고 묻거나 지적하고 싶은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깔끔하게 인정하겠습니다. 더 빨리 보완됐으면 좋았겠지요. 다만 이 사안을 누구의 잘못이나 그름이 아니라, 독서문화운동 수준의 발전에 따른 순차적 변화라고 생각해주면 좋겠습니다.

 

기존의 틀만 고집하기보다는 개선점을 발견해 과감히 바꾸는 용기, 더 많은 시민이 함께 책 읽는 기쁨을 공유하고 소통하길 바라는 마음을 예쁘게 봐주길 부탁드립니다.

 

그런 고민과 연구의 결과로 ‘책 읽는 군포’는 지난 2014년 제1호 ‘대한민국 책의 도시’로 공식 인증받았고, 올해 3월부터는 포부도 크게 ‘책나라군포’ 개국을 선포하는 자신감을 가질 정도로 독서 환경과 각종 문화 사업을 일정 수준 이상 끌어올리는 성과도 이뤄냈습니다.

 

이번에 ‘2017 군포의 책’을 찾으며 일반·청소년 분야 외에 아동 분야 도서를 따로 선정하는 것도 군포의 독서문화 수준을 한 단계 높이려는 노력 중 하나입니다.

 

지금부터 설레고 기대됩니다. 우리 아이들이 내년에 자신들만을 위해 선정된 군포의 책을 읽으며 얼마나 성장하고 변화할지. 또래 친구들과 함께 더 쉽고 재미있게 책 읽기를 하고, 책을 주제로 소통·토론하며 독서문화를 즐기는 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울지.

 

“책 읽는 아이는 마음이 건강하고, 어른은 인생이 지혜롭고, 도시는 비전이 넘칩니다.”

지금처럼 우리 공직자들이 계속 노력하고 변화·성장한다면 ‘책 읽는 군포’를 정책 사업으로 정해 추진하며 내세운 표어처럼 군포에 거주하는 모든 아이의 마음이 건강해지고, 모든 어른이 지혜로워져, 모두가 부러워하는 비전이 넘치는 도시가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누구나 책 읽기 좋은 환경, 2016년 현재 군포시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김윤주 군포시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