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강국 한국, 소프트웨어 비중 15% 불과…美ㆍ中 보다 훨씬 낮아

IT 강국이라 불리는 한국에서 하드웨어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아 글로벌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산업분석팀은 13일 ‘IT 시가총액 동향’ 보고서에서 “한국의 소프트웨어 비중은 10년 전 9%에서 작년 15%로 늘어났지만, 여전히 하드웨어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고, 특히 삼성전자가 포함된 IT 하드웨어 업종 비중이 50%를 웃돌아 특정 업종 편중 현상이 심각하다”고 밝혔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비중은 증시에 상장된 관련 기업들의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추산한 것이다. 전체 IT 업종은 반도체, 전자부품, 소프트웨어, 인터넷, IT 서비스, 가전, IT 하드웨어, 통신장비 등으로 나눠 분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비중은 10년 전 50대50에서 지난해 38대62로 전환됐다. 또 특정 업종에 대한 편중이 작은 편이다. 중국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비중은 10년 전 70대30에서 지난해 42대58로 급격하게 변화했으며 인터넷 업종의 비중 증가와 전자부품 업종의 비중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일본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비중은 69대31이다. 보고서는 “일본은 다른 국가보다 전자부품과 가전 업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며 “일본도 하드웨어 비중이 여전히 높은 편이지만, 전자부품 업종을 제외하면 특정 업종 편중이 그다지 크지 않은 점이 한국과의 차이”라고 밝혔다. 

또 “IT 시가총액 100대 기업을 분석한 결과 IT의 중심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이동하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