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최고 39.9%에 달했던 인천시의 채무비율이 3년 만에 재정 정상 단체 조건인 채무비율 25%보다 낮은 24.1%까지 떨어져 재정 위기 주의단체에서 벗어나고 있다. 최고 3조 2천581억원이었던 시 본청의 금융채무는 2년6개월 만에 8천956억원 줄었고, 그 밖에 부채 및 공사 공단을 포함한 총 부채는 2조7천억원 감축됐다. 그동안 지급하지 못했던 법정경비 등 감춰졌던 채무 6천283억원 해소까지 포함하면 부채 총 감축액은 3조3천억원이라는 것이 인천시의 설명이다.
유정복 호의 재정 건전화에 대한 평가는 정치적 시각 등에 따라 엇갈리지만 괄목할 만한 성과임에는 틀림없다. 특히, 인천시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알짜 국비’인 보통교부세를 2015년부터 2천여억원씩 증가한 4천억원 이상씩을 매년 확보하는 것은 앞으로의 시 재정 운영에도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시는 이처럼 재정 운영이 정상궤도에 진입함에 따라 사회복지, 문화, 교육, 환경 등의 분야에 재원을 우선 배정해 재정 건전화의 성과를 시민행복사업으로 실현하는 계획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같은 계획은 유 시장의 시정 이념인 시민 행복 추구와, 내년 지방선거 준비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방편으로 보인다. 물론 지난 3년간 함께 허리띠를 졸라맨 시민에게 재정 성과를 돌려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지나친 샴페인이 자칫 독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看過)해서는 안된다. 유정복 호의 재정 건전화는 역대 최고 수준의 국비와 보통교부세 확보가 큰 역할을 했지만, 부동산 경기 활성화에 힘입은 토지 매각 활성화와 지방세 증대라는 운도 함께 했다.
또 기반시설 토목사업이나 SOC사업을 자제한 것도 한몫을 했다. 앞으로도 이 같은 3박자가 맞아 주기를 기대할 수는 없는 일이다. 정권이 바뀌었고, 부동산은 규제가 강화되고, 도로개설 등 각종 기반시설 토목사업 요구 민원이 쌓여가고 있다. 앞으로의 재정 시계가 지난 3년간의 재정 시계보다 훨씬 힘겨울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하는 듯한 대목들이다.
이미 힘겨운 재정 시계가 돌아가고 있기도 하다. 인천시가 묶은 현안 해결 차원에서 2020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루원시티 개발사업은 벌써부터 ‘재정 폭탄’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0년째 지연된 이 사업의 조성원가 3.3㎡당 2천만원에 달하면서 준공 시 2조원 이상의 적자가 우려된다는 것이 주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특히 이 사업은 인천시가 도시공사 등을 거치지 않고 직접 LH와 50대50 지분으로 ‘사업 후 정산’ 방식으로 추진하는 사업으로 적자 예상액의 절반인 1조원의 재정 부담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재정 투입이 필요한 각종 기반시설 토목사업도 줄을 이어 기다리고 있다.
2014년 아시안게임 지방채도 2029년까지 매년 900여억원씩 총 9천억원 이상을 더 갚아야 한다. 여기에 한번 시작하면 영구적으로 지속해야 하는 복지 예산까지 짜임새를 잃는다면 앞으로의 인천시 재정 부담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불요불급(不要不急)한 곳에까지 샴페인 잔을 채우다가는 자칫 재정 재 악화라는 독배가 될 수 있다. 적절하고 현명한 재정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시민과 인천시, 유정복 시장 모두를 위해….
유제홍 인천본사 정치부 부국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