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예산 공공와이파이…40% 해킹 위협, 보안 장치 없어”

박홍근 의원 “구축 늘수록 이통사 데이터사용량 줄어, 3사 위탁 문제”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공공와이파이 중 40%가 보안 장치가 없어 사용자들이 해킹 위협에 노출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공공와이파이 구축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공와이파이 1만2천300곳 중 40%는 보안이 무방비 상태라고 29일 발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신규 구축한 곳이 7210곳, 기존 이동통신사의 와이파이를 공공와이파이로 전환한 곳이 5090곳이다.

해킹 위협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공공와이파이에도 방화벽이 구축돼 있고 이상 트래픽이 이뤄지지 때문에 해킹되지 않고 보안상 문제도 없다는 답변을 전했다고 의원실은 밝혔다.

하지만 박 의원은 간단한 분석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면 공공와이파이에 접속한 스마트폰의 IP주소와 기종, 이메일 아이디와 비밀번호, 심지어 메일 내용까지 무방비로 노출됐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공공와이파이와 이통사의 이해 충돌도 지적했다. 자료에 따르면 공공와이파이 구축 사업에 정부(94억원)와 지자체(75억원)가 총 169억원을 투입했으며 이 중 150억원 이통 3사에 지급했다.

박 의원은 공공와이파이가 활성화되면 이통사가 유료 제공하는 데이터 사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통신사와 이해관계가 충돌된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예산을 들여 이통사에 공공와이파이 구축을 위탁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덧붙였다.

박 의원은 “공공와이파이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문제가 생기면 전 국민이 해킹 위험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하루 빨리 보완 대책을 마련해야 하며 통신사에 예산을 줘 공공와이파이를 구축하는 것이 타당한지 전면 재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