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점 과제로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개인인정보 비식별조치 활성화 정해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사이버 공격에 대비해 연내 빅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
또, 생활밀착형 서비스 분야에서는 정부 방침에 따라 2020년까지 500대 민간 사이트의 액티브X를 90% 이상 제거하고,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플러그인을 완전히 제거할 계획이다.
김석환 원장은 23일 광화문에서 취임 후 가진 첫 기자 간담회에서 “사이버 테러 지능화에 대비해 12월까지 약 25억 원을 들여 빅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 원장은 “기업들이 센터가 수집한 정보를 이용해 보안 상품을 내놓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며 “센터 내에 인공지능(머신러닝) 기반의 분석체계를 구축해 기존 PC와 서버 중심의 대응체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KISA는 2009년 출범한 이후, 민간 영역의 보안과 개인정보 관리 등을 담당한다. 최근 4차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올해 중점 추진 과제로 ▲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 ▲ 개인정보 비식별조치 활성화 등을 확정했다.
블록체인 활성화와 관련해 4월 말까지 6개 사업 과제를 발주하고, 서울·부산·광주에서 청년층의 블록체인 아이디어를 수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방안도 모색한다. 우선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개인정보 정책 연구를 위해 이번 주부터 해외 탐방 조사에 나선다. 조사 결과는 개인 동의 하에 정보를 활용하는 한국형 개인 데이터 스토어(PDS) 구축에 활용된다.
KISA는 개인정보 비식별 콘테스트와 해킹대회(CTF) 개최도 검토 중이다. 행사는 개인정보 대상자를 알지 못하도록 비식별 조치하고 나서 재식별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KISA는 사이버 보안 분야에서 정부와 협력해 사고 조사와 후속 조치를 담당한다. 하지만, 법적 권한은 없어 사고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지난해 10월 KISA는 가상화폐 거래소 유빗을 현장 점검했지만, 개선 권고만 했을 뿐이다. 두 달 뒤 유빗에서는 해킹 사고가 터졌다.
김 원장은 “당시 점검 부문 21개 중 15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지만, 시정 지시를 할 권한도, 동의 없이 조사할 권한도 없어 개선 권고만 했다”고 말했다.
한편, 김석환 원장은 작년 11월 13일 5대 원장으로 취임했다. PSB부산방송 보도국장·부산 민영방송 KNN 대표 등을 거쳐 지난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캠프미디어특보단으로 활동했다.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김 원장은 “방송사의 IT 자회사를 2년간 운영한 경험이 있어 문외한은 아니다”며 “앞으로 KISA가 나아갈 방향을 고민하는 것이 내가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