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V-City사업 출발부터 ‘삐걱’

정왕동 GB지역 1조5천억 투입 자동차산업 복합단지 개발
보상·사업방식 등 市와 이견 토지주들 “일방적 추진” 반발

▲ v-city지형도
▲ v-city지형도
시흥시가 정왕동 일원 GB지역에 건설 예정인 221만 6천여㎡ 규모의 V-City(미래형 첨단자동차 클러스터) 개발사업이 사업 초반부터 토지주들의 반발에 부디쳐 삐그덕 거리고 있다.

시가 토지주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일괄현금 보상 및 특정업체를 민간사업자로 선정, 특수목적법인 설립 등의 방안으로 사업을 진행하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에 따라 사업지구내 환지방식의 보상과 시행사 참여를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4일 시와 토지소유주들에 따르면 시는 정왕동 일원 60번지 일원 221만 6천여㎡ 면적에 총 1조5천억 원을 투입, 오는 2023년 완공 예정으로 V-City(미래형 첨단자동차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지구는 1987년 시화 국가산업단지 조성 당시 공유수면 매립을 위해 토취장으로 활용된 후 지금까지 방치돼 온 GB지역으로 자동차산업과 관련된 테마관광사업, 부품소재 산업을 유치하고 R&D 등의 복합단지로 개발된다.

 

시는 이에 따라 이곳을 시흥시 등 공공부문(51%)과 민간사업자(49%)가 참여한 특수법인을 설립, 민관합동개발 방식으로 추진키로 하고 현재 유도개발(주)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이어 올 상반기 중 사업협약 체결 및 특수목적법인(SPC) 설립과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통한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고 하반기에는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수립을 마친뒤 내년부터 토지보상에 나설 방침이다.

 

하지만 사업지구내 토지소유주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무시한 채 시가 특정업체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는 등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지난 13일 열린 V-City 개발사업(도시개발구역지정(안)과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에서 이같은 의견을 제시하며 사업방식의 변경 등을 강하게 요구했다.

 

특히 이날 토지소유자로 구성된 사업협동조합(이사장 천선모)은 성명을 통해 “도시건설에 전문성이 부족한 (주)유도가 민간사업자로 선정된 것에 대해 이해할 수 없고 토지주를 배제한 컨소시엄은 있을 수 없다”며 “반드시 토지소유자 사업협동조합을 중심으로한 새로운 시행사가 구성돼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합은 또 토지의 보상을 강제수용방식에서 수용+환지를 병행하는 혼용방식으로 변경해 줄 것 등을 요구했다.

 

김태삼 총무이사(토지소유자 사업협동조합)는 “토지소유주들은 과거 반월특수지역 편입으로 환매를 받은 땅이 시화공단 건설 토취장으로 이용되고, 이제는 V-City건설로 3번째 맞는 토지수용을 통해 매번 아픔을 격어 왔다”면서 “적정한 보상과 환지, 개발참여 등의 요구가 수용하지 않을 경우 향후 집단행동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공정한 토지보상을 위해 토지소유자들이 추천한 감정평가사를 이용하고, 환지방식의 보상과 토지 소유주의 법인 참여는 현재는 검토한 바 없지만, 소유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법적인 문제점 등을 고려해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시흥=이성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