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자율차·지능로봇 등 8개 분야에 '패키지형 R&D' 도입

정부가 연구개발(R&D) 투자 시스템 혁신을 위해 ‘기술-인력-정책-제도개선’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투자플랫폼을 도입키로 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가 추진하고 있는 판교주행실증단지를 활용한 정부 사업의 연계가 기대된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34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2019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을 심의·의결했다.

 

우선 정부 R&D 투자영역을 기초연구, 인력개발 등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 선도, 공공 수요 등 3가지로 설정하고 이에 따른 세부 중점투자 방향을 설정했다.

 

또한, 자율주행차, 정밀의료, 고기능 무인기, 미세먼지 저감, 스마트그리드, 지능형로봇, 스마트팜, 스마트시티 등 4차 산업혁명 대응 8개 분야에 대해 ‘패키지형 투자플랫폼’을 시범 적용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판교에 추진중인 자율주행실증단지를 활용, 자율주행에 필요한 센서, 통신 등 분야별 과제를 실증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연계한 사업추진을 기대하고 있다.

 

도는 총 면적 43만㎡에 이르는 판교제로시티 조성사업에 맞춰 자율주행이 가능한 시스템을 1ㆍ2단계에 걸쳐 각각 연말과 내년에 완료할 방침이다.

 

또 과기정통부는 ‘패키지형 R&D 투자플랫폼(R&D PIE)’을 도입해 사업별 예산 배분 방식에서 탈피, 분야별로 ‘기술-인력양성-제도-정책’을 종합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부처별 산재된 R&D 사업을 통합 관리·평가하고, 웹기반 소프트웨어로 개발해 관련 정보를 상시 업데이트하고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또 창의적인 연구환경 조성과 국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 향상,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성장 가속화, 과학기술 기반 고급 일자리 창출 등 4개 분야로 나눠 12대 영역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는 내용을 투자방향에 담았다.

 

내년에는 재난·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R&D에 투자도 강화된다. 국민건강·생활편익 증진을 위한 ‘원인규명-문제해결’ 중심의 R&D 체계도 정착시킨다. 특히 미세먼지의 발생원인 규명과 예보 정확도 향상 등에 투자키로 했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