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문화·인물 생생한 ‘마을 이야기’ 보러 오세요
김진주 작가(36)의 말이다. 경기상상캠퍼스에 입주한 김진주 작가는 지역을 기반으로 아카이브 작업을 하고 있다. 지역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기록한다. 김 작가는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시나 콘텐츠로까지 확장시키는 기획자이기도 하다.
경기상상캠퍼스는 예전에 서울대 농대가 있었던 자리다. 경기문화재단이 이 자리를 위탁받아 비어 있던 건물과 터를 순차적으로 개보수하고 있다. 문화공간으로 꾸미며 입주 작가, 청년단체의 활동공간을 제공한다. 김진주 작가는 서둔동을 중심으로 아카이빙을 시작하며 입주했다. 방치됐던 공간에 대한 역사 연구와 기록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김 작가는 “입주하면서 농대의 역사나 연원, 농업 교육의 역사 등에 대해 지역조사와 인터뷰를 하고 자료를 정리했다”며 “건물 공사하면서 변화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촬영하거나 문헌연구, 인터뷰 연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입주한 것이 지역에서 활동할 수 계기가 됐고, 덕분에 서울이나 타지로 떠나지 않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현재는 ‘경기천년’과 관련한 아카이브 작업을 하고 있다. 역사와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기록을 수집해 정리한다. 7월에는 이와 관련해 전시도 오픈할 예정이다. 또 경기북부로 활동 범위를 넓혔다. DMZ 접경 지대인 파주 선유리에서 ‘인물’을 중심으로 지역을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활동에 대해 김 작가는 “작가가 연구를 하냐는 질문도 들었는데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예술작품도 시공간을 말해주는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고, 결국 기록을 활용하거나 수집하는 일은 문화예술과 멀리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김 작가의 아카이브 작업은 학자와 다르다. 보다 날 것을 생생히 기록하며 이 기록은 대중에게 콘텐츠로 선보이는 기획으로 이어진다. 김 작가는 마지막으로 “옛 이야기로 재미있게 놀아보자 라고 생각하며 일한다”며 “지역 기록과 연구에 문화 기획도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손의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