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검색어도 모바일 첫화면 제외 등 뉴스 댓글 논란 방안 발표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네이버가 뉴스 자사 서비스에서 보이는 뉴스 편집을 중단할 방침이다.
네이버는 9일 서울 네이버 파트너스퀘어 역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뉴스 댓글 공간을 운영해 온 플랫폼 사업자로서 현재의 뉴스 댓글 논란을 구조적으로 해결할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한성숙 대표는 뉴스 댓글 논란의 근본적인 문제로 네이버 첫 화면 최상단에 배열된 소수의 기사에 3천만 명의 시선이 집중되는 구조를 꼽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의 뉴스 소비 동선을 다양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뉴스 서비스가 안는 문제의 가장 본질적 대책으로, 한 대표는 “올해 3분기 이후부터 네이버는 더 이상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혔다.
언론사가 직접 뉴스를 편집하고, 네이버는 해당 광고 수익과 독자 데이터를 언론사에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모바일 첫 화면에서 뉴스를 완전히 제외하고 검색 중심의 첫 화면으로 재편하겠다는 방안도 발표했다. 첫 화면에 뉴스가 배치돼 특정 기사에 과도하게 시선이 집중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같은 이유로, ‘실시간급상승검색어’도 더 이상 첫 화면에서 제공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야 하는 구조로 개편된다. 이 같은 방안은 올해 3분기 내에 적용될 예정이다.
언론사 편집가치를 기준으로 뉴스를 소비하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들이 개인의 관심사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뉴스를 만날 수 있도록 ‘뉴스피드판(가칭)’도 신설한다. 해당 공간은 네이버의 인공지능 추천 기술인 에어스(AiRS)로 운영되며 이달 안에 AI 헤드라인 추천과 개인 추천 관련 사용자 대상 테스트를 진행해 AI 추천 품질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한 한 대표는 언론사들이 해결책으로 제안한 아웃링크에 대해, “네이버 뉴스에 구글식 아웃링크 도입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생각도 밝혔다.
이어 “아웃링크에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며 “전재료 바탕의 비즈니스 계약, 아웃링크 도입에 대한 언론사들의 엇갈리는 의견 등으로 일괄적인 아웃링크 도입은 어렵지만, 언론사와의 개별 협의를 통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3천만 명이 넘는 사용자들이 모두 동일한 뉴스를 보고, 모두 동일한 실시간급상승검색어를 보는 지금의 구조로는 모든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힘들어졌다”며 “뉴스 편집 방식을 버리고 공간과 기술만 제공하는 역할로 물러나 네이버 본연의 모습인 정보와 기술 플랫폼에서 새로운 답을 찾을 것”이라고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