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하반기부터 서울 도심에서 자율주행버스 운영 전망

국토부, 상암 DMC 지역 자율협력주행 시범 지구 조성

▲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 등 통신 개념도. 자료/국토교통부
▲ 차량과 차량, 차량과 인프라 등 통신 개념도. 자료/국토교통부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서울시에 자율협력주행 시범 지구가 조성된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혁신성장을 선도하고 도심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서울특별시(시장 박원순)와 협력해 서울 도심에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를 구축하고 자율협력주행 시범지구를 조성한다고 13일 밝혔다. 성공적인 사업추진 및 상호지원을 위해 국토부와 서울시는 업무협약도 체결한다.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는 차량 센서로 주변 환경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차량 간(V2V), 차량-인프라 간(V2I) 통신으로 정보를 받아 차량 센서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우선 상암 DMC 지역 일반도로에 내년 하반기까지 고도 자율협력주행 시범지구가 구축된다. 무인 자율주행버스가 운영되며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기점으로 상암 DMC 내 주요 거점을 순환한다. 이르면 2019년 하반기부터 일 2~3회 무료 운행될 것으로 보인다.

상암 DMC는 터널과 회전교차로 등 다양한 도로형태를 갖추고 있어 고도 자율협력주행 시범 운영에 적합한 지역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무인버스 운행 실증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모바일로 부르는 버스’ 등의 형태로 대중교통 소외지역 등에 자율주행 차량을 상용화하는 방안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시범지구는 차량과 도로 인프라가 소통하는 자율협력주행 실증공간으로 조성되며 차량 센서로만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기존 자율주행의 한계를 극복하고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통신으로 도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커넥티드 카’ 기술이 결합된다.

도로협력인프라와 다른 자동차 등과 정보망이 연결되는 커넥티트 카 기술을 활용하면 야간이나 우천, 안개 등 악천후 환경에서도 차량 안전 화보가 가능해진다.

국토부는 자율협력주행 시범지구를 바탕으로 운전자 개입이 필요 없는 수준인 완전 자율주행 기술(5단계)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기술은 인간의 관여도에 따라 1~5단계로 분류되는데, 5단계는 운전자가 전혀 필요 없는 최상위 단계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