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이외 신분야 부재, LCD 생산능력 지난해 중국에 역전당해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국내 ICT 산업이 중국위협으로 위기에 봉착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0일 개최한 ICT산업의 현주소와 경쟁력 강화방안 세미나에서 권태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CT 산업은 외환위기 이후 우리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돼왔으나 최근 위기 징후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권태신 부회장은 “디스플레이는 8년간의 시장점유율 1위를 중국업체에게 내줬으며, 휴대폰도 국가별 점유율에서 중국에게 역전 당했다”며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도 중국의 공급확대에 따른 경기부침 심화 가능성으로 경쟁력 지속을 낙관할 수만은 없고 위기극복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슬기로운 대처가 요구 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 연사로 나선 산업연구원 김종기 실장은 “현재 한국 ICT산업은 5G 이동통신 외에 눈에 띄는 신산업 분야가 부재하다”며 “세계시장 포화로 성장한계에 도달했으며, PCㆍ폰ㆍTVㆍLCD 등에서 높은 가성비로 신흥시장 입지를 확대하고 프리미엄시장까지 진출하는 중국의 부상, 보호무역 확산 등으로 위기상황에 직면해있다”라고 진단했다.
다만 “다른 한편으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CT 기술융합으로 새로운 제품, 서비스 출현이 가능한 기회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ICT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기업은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접목한 응용분야 R&D 투자확대와 혁신적 ICT 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써야 하며 신흥 수출시장 개척과 신성장동력 발굴노력이 중요하다고 권태신 실장은 조언했다.
디스플레이 산업분야 발표를 맡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이연규 실장은 “LCD 단가하락, OLED 성장세 둔화, 중국 등 경쟁국의 시장주도권을 둘러싼 치열한 각축 등으로 최근 디스플레이산업은 어려움에 처해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수출의 4%, GDP의 4.5%를 차지하여 우리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지속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기술진보, 산학연 협력 등을 통한 신시장 창출, 다양한 융복합 제품수요 맞춤형 소량 다품종 생산확대, 디스플레이 전문인력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016년까지 우리나라는 중국보다 LCD생산량에서 앞섰으나 지난해에는 중국에 역전당했다. 아울러 휴대폰 등 전자산업과 반도체 분야에 대해서도 진단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