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제17차 중소기업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위원회’ 개최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중소 소프트웨어(SW) 기업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 선진형 유지보수 체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1일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제17차 중소기업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위원회’를 열고 SW 유지보수 체제 전환과 근로시간 단축 등 업계 애로사항 등에 관한 의견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박미경 한국여성벤처협회 수석부회장은 “낮은 유지보수 요율과 공공기관, 원도급자의 무리한 요구 등으로 중소 소프트웨어(SW)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다”라며 “선진형 SW 유지보수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SW 유지관리 요율을 현 15%에서 2022년 20%까지 높이겠다고 했으나 실상은 10%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공공기관의 무상 유지보수 요구, 원도급자의 고의적인 계약 지연, 무리한 무상지원 요구 등 불합리한 횡포와 요구로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말했다.
박미경 부회장은 선진형 SW 유지보수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유지보수료 선지급, 불합리한 행위를 하는 원도급자 제재 강화, 분리 발주 대상 SW는 유지관리 포함 발주, 상용 SW 제안요청서 상 검수 후 유상 유지보수 계약 의무화 등 방안을 제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