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체성·주민 협치·재원이 주춧돌
민선7기 박남춘 인천시장이 원도심-신도시간 균형발전을 이뤄내려면 원도심 전담 부시장제 도입과 도시재생 전담기구 설립을 기반으로 지역 정체성 확립·주민 협치·재원 마련 방안 등이 전제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제언이다.
인천 역사·문화·자연을 살려 주민·문화활동가·건물주인·전문가·건축가가 협치하는 마을공동체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을 막아야 하며,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활용한 마중물 재원과 함께 자체 재원 조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변병설 인하대 행정학과 교수는 원도심 재생은 인천이 가지는 고유한 역사·문화·자연을 잘 살리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견해를 내놨다.
변 교수는 “건물을 부수고 재개발·재건축하는 방식이 아니라 기존 건물을 살리면서 하는 것이기에 건물의 내부는 현대화하더라고 외부는 살리는 방식으로 해야 감성적인 거리와 정감있는 건축물을 만들 수 있다”며 “지역의 정체성이 반영된 건물을 유지 발전시키면서 관광산업을 특화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원주민이 떠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당 지역에 사는 주민과 문화활동가,건물주인, 전문가, 건축가가 협치하는 방식으로 진행, 마을공동체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종국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는 시장의 강력한 의지와 함께 조직과 재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 교수는 “팀당 평균 5명으로 현장팀을 꾸려 주민, 지역 상인과 함께 사업팀을 만들고 공무원이 이 팀에 들어가서 지도하는 방식이 아닌 주민과 지역 상인이 기획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가에서 공모하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적극 지원해서 재원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렇게 얻은 자금을 마중물 삼아 장기적으로 도시재생이 지속될 수 있도록, 마중물 자금이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인천시 자체 재원도 1조원 수준으로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원도심은 도시계획은 물론, 개발·교통·환경 등 여러 가지 부분이 걸쳐 있기에 이를 통합한 계획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는 기구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처장은 “재원대책이 반드시 나와야 하는데 재원마련 방안은 중앙정부 사업과 연계하는 것과 자체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 등 두 가지가 있다”며 “중앙정부 사업 연계는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적극적으로 공모하면 되지만, 자체 재원 마련에 대한 방안이 반드시 필요하기에 이 부분도 해결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