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챗봇, 사고 방지 드론 등 과학기술이 치안현장 돕는다

과기부·경찰청, 폴리스랩 사업 6개 과제 선정해 100억원 지원

▲ ㅃㅃㅃㅃㅃㅃ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국민의 과학기술 아이디어가 치안현장에 도입될 예정이다. ‘성범죄 2차 피해방지 AI 챗봇’, ‘교통사고 2차 사고 방지 드론’ 등이 관련 사업의 신규 과제로 선정돼 지원을 받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청장 민갑룡)은 2일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국민과 경찰이 요구하는 치안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시범사업(이하 ‘폴리스랩 사업’)’의 신규과제를 선정,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폴리스랩(PoliceLab)은 치안을 뜻하는 폴리스(Police)와 리빙랩(Living-Lab)의 합성어로, 과제 선정부터 실증까지 국민, 경찰,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는 ‘리빙랩’ 방식을 도입한다.

 

국민생활연구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폴리스랩’ 사업은 기존 전문가 중심 기초·원천 연구개발과는 달리 과제 기획부터 실증, 적용 전 과정에 사용자인 국민과 경찰이 참여, 현장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이 함께 추진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대국민 과학치안 아이디어 공모전’과 ‘국민, 현장경찰, 연구자 대상 수요조사’ 등을 실시, 국민생활과 밀접하고 시급히 해결이 필요한 현안을 도출했다.

 

기술전문가는 물론 현장 경찰관들이 함께 평가 과정에 참여해 ‘접이식 방검용 방패’, ‘성범죄 2차 피해방지 AI 챗봇’, ‘교통사고 2차 사고 방지 드론’ 등 총 6개의 신규과제를 선정, 향후 3년간 약 100억 원을 지원하게 된다.

 

‘접이식 방검방패 개발팀(연구책임자: 한국과학기술원 양범주)’은 버튼을 누르면 펼쳐져 휴대하기 편하고, 초경량 섬유강화 복합소재 사용으로 무게도 가벼운 접이식 방패 개발을 통해, 현장경찰의 안전한 치안 활동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성범죄 문제 해결기술팀(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 이준환)’은 피해자 진술을 돕는 인공지능 기반 상담형 챗봇을 개발해, 피해특성별로 꼭 필요한 진술을 확보하고 피해자의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등 추가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소형드론 활용 경찰지원 시스템 개발팀(연구책임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지훈)’은 순찰차에서 탑재돼 자동 이착륙 및 현장 통제 임무 수행 등이 가능한 소형 드론 시스템을 개발, 고속도로 2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등 국민 안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번에 선정된 6개 연구팀은 과제별로 치안현장을 선정, 해당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는 리빙랩 방식으로 기술개발을 추진하게 되며, 기술개발 및 실증 과정에 일선 경찰관들의 생생한 목소리가 반영 되도록 연구팀별 현장담당 경찰관도 매칭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은 6개 연구팀을 통해 개발되는 제품과 서비스가 치안 현장에 적기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 제도의 개선이나 공공구매와의 연계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경찰청 관계자는 “치안현장의 문제는 과학기술을 통해 보다 근원적인 해결이 필요한 가장 시급한 국민생활문제 중 하나”라고 강조하면서, “국민, 현장경찰이 연구개발 전 과정에 참여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문제해결 기술을 개발하고 치안 현장에 적용, 확산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