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도의회 이끄는 살림꾼을 만나다] 김인순 여가교위 부위원장 (민주당·화성1)

“학교 밖 청소년에 희망 줘야”

제목 없음-1 사본.jpg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삶에 희망을 주고자 집행부의 행정이 현실에 맞게 괴리감 없이 다가가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해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제10대 경기도의회 김인순 여성가족교육협력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화성1)은 29일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사업은 ‘시ㆍ군 학교밖 청소년 문화활동 지원사업’”이라며 “지난 9월 추가경정예산안 심사에서 도 집행부가 6억 원 중 5억 4만 원을 반납하려고 했던 이 사업을 다시 살려내고 나서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에 관심을 뒀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당시 집행부에서 ‘시ㆍ군 학교밖 청소년 문화활동 지원사업’ 예산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로 학생을 발굴하기 너무 어렵다는 답변을 했다”면서 “하지만, 성남에서 열린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한 꿈울림박람회에서 650여 명의 힘든 환경에 놓인 학생들이 대거 몰린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백 명의 학교 밖 청소년들이 박람회를 찾아 취업과 편입, 검정고시 등의 부스에서 고민을 상담하고 있었던 것”이라며 “이 행사는 부족한 예산으로 진행되고 있었는데 도에서는 5억여 원도 다 쓰지도 못하고 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문제는 정보의 전달이 온전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학교를 나오는 학생의 데이터가 교육부에서 여성가족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학생의 동의를 구해야 확보 가능한데 동의를 안 하는 것”이라면서 “두 번째로 학교밖청소년상담센터가 센터장과 상담사 1명 정도 있는 식으로 인력 확보가 열악하다. 일도 많은데 문화체험 사업을 하기에도 버거워 직원들이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현장과 행정 사이의 괴리를 여가교위가 중간자 역할을 통해 뛰어넘을 수 있도록 적극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김 부위원장은 강조했다.

 

그는 “어떤 정책을 세우든 집행부가 많이 협의과정을 거쳤으면 좋겠다. 지역아동센터 등에서 보면 현장에 맞지 않는 예산이 내려온다는 것”이라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예산이 사용되도록 집행부에 요구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