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 속도 낮춰… ‘고속 주행’ 사전 차단
지난해 경기 남부권역 21개 시ㆍ군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로 400명이 넘는 도민이 생명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남부본부는 경찰청과 지자체 등과 협업을 통해 역량을 최대로 끌어올려 ‘2022년까지 전국 교통사고 사망자 2천명 이하’라는 정부 목표 달성에 기여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21일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남부본부에 따르면 우선 공단은 ‘안전속도 5030 정책’을 최우선적으로 추진한다. 도심부도로와 생활도로의 속도를 각각 50㎞/h와 30㎞/h로 낮춰 교통사고 발생 시 치사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고속 주행’을 사전에 방지한다는 방침이다. 공단은 정책 속도 하향 심의를 올해 안에 완료, 이어 2022년부터는 후속법령을 개정해 전국적으로 정책 도입을 이뤄낸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이륜차에 대한 안전관리 활동도 강화한다. 최근 배달업 증가로 이륜차 운행이 늘고 불법행위가 만연하는 가운데 공단은 안전모 착용과 준법운전 등 사고예방 캠페인을 시행하고 이륜차의 교통법규 위반을 제보하는 제보단을 모집ㆍ운영함으로써 효율적인 단속과 규제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단은 사망사고나 교통사고 취약지점에 대한 시설을 점검, 기준에 맞지 않거나 불합리한 시설은 정기적으로 개선안을 도출해 관련기관에 의뢰하고 있다.
이 같은 공단의 교통안전사업은 경찰청, 지자체, 유관기관 등과 협업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공단은 협업을 통해 각자 가지고 있는 역량을 최대한 발휘, 기관 별 전문성을 내세워 효과적인 안전사업 시행을 기대하고 있다.
김기응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남부본부 안전관리처장은 “공단이 추진하는 정책과 활동은 유관기관은 물론,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이 절실하다”며 “모두 힘을 합친다면 효과가 극대화돼 ‘안전한 경기도 도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