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인사이드 경기] 한반도시대 ‘허브도시’ 주춧돌
지역사회 인사이드 경기

[인사이드 경기] 한반도시대 ‘허브도시’ 주춧돌

2년만에 달라진 파주시, 앞으로 더 기대되는 2년

김현미 국토부장관, 최종환 파주시장, 윤후덕 국회재정위원장, 박정 민주당 도당위원장 등이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GTX -A 노선 착공식에 참석,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파주시제공

“2년전 파주시와 비교해 볼때 차별적 정책을 내 세워 높은 성과를 도출했습니다. 앞으로의 2년이 더 기대 됩니다.”

최근 파주시가 일반시민들을 대상(익명)으로 지난 2년간의 평가를 설문조사로 진행한 결과, 시민들이 이구동성으로 쏟아낸 말들이다. 시민들은 지난해 10월 아프리카돼지열병에 이어 코로나19로 어려움이 겹겹히 쌓여 있으나 2년전과 확 달라진 파주시정으로 “타시보다 모범적으로 극복할 것이다”라는 신뢰를 보내고 있다. 최종환 파주시장이 임기 반환점을 돈 현재 어떤 정책들이 차별ㆍ성과를 도출해 냈으며, 무엇이 향후 기대감을 갖게 하는지 살펴 봤다.

한울도서관 개관식에서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파주시제공

■ 한반도 평화수도 파주실현과 자족도시 기틀 완성

파주시는 지난 8월 말 정부로부터 낭보를 받았다. 1953년 정전협정으로 주소가 없던 판문점 등 DMZ 일원 60만㎡를 파주시로 행정구역편입해도 된다는 것이다. 민ㆍ관이 똘똘뭉쳐 지금껏 누구도 해내지 못한 일을 성과를 일구어 냈다. 67년만이다. 또 기초 지자체로는 처음으로 대북지원사업자로 지정됐다. 경기도 등 광역단체만 가능했으나 파주시라는 위상에 걸맞게 민간대리인없이 독자적 대북지원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평화도시조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평화도시조성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발빠르게 대처해 온 결과다. 평화도시이미지를 높히기위해 군사적 효용이 사라진 방호벽 3개소 철거도 실시했다. 이와함께 자족도시로 향한 틀을 완성한 2년이었다. 그동안 특성화된 복합문화관광 콘텐츠 취약성을 세계적인 영상 등 콘텐츠 대기업인 CJ ENM 콘텐츠월드를 유치하며 보완했다. 현재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연간 120여만명이 찾아 오고 관련 일자리 2만여명의 창출이 기대 된다. 파주북부권의 자족기능확대를 위해 파평산업단지 등 총 100만㎡규모 5개산단을 잇따라 조성, 산업경쟁력강화에도 나섰다. 운정신도시에는 파주4차산업혁명을 이끌 첨단클러스터가 산업단지 물량배정을 받아 착공을 기다리고 있다.

▲ 6_3. 임진각 평화곤돌라
파주시가 민간자본을 유치, 분단사상 처음으로 임진강을 강위로 횡단하는 평화 곤돌라를 운영하고 있다. 파주시 제공

■ GTX 착공ㆍ 3호선 연장 눈 앞, 반환미군기지 속도 높은 개발로 균형발전 현실화

파주시민들이 갈망했던 GTX-A 노선을 착공시킨데 이어 지하철3호선(일산선)을 파주로 연장하는 등 굴지의 성과를 냈다. 7년만에 운정신도시 등지에서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 9개 노선과 직행좌석버스도 신설했다. 천원택시로 대중교통 수단이 취약한 적성면 등 30개 마을 주민들의 교통서비스를 지원했고 다음달부터 마을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한다. 도로망도 국도가 66㎞가 더 늘어나는 등 국지도, 지방도, 시도 도로망의 개통도 더 빨라졌다. 교통망과 병행해 도농균형발전 도모에 도시재생사업이 앞장섰다. 행정기관이 이전한 구도심의 활성화를 위해 등기소는 금촌복합민관복합커뮤니티센터를 건립하고 경찰서부지는 행정융합지원센터로 변신한다. 국도비 68억원도 확보, 파주형 마을살리기사업을 추진 중이다. 무엇보다 캠프하우즈 등 3군데 반환공여지개발사업이 대기업 참여속에 속도를 내고 있다. 캠프 자이언트 등 2곳 사업자도 공모에 나선다. 파주출판도시에는 복합문화센터를 건립하는데 앞서 국비 25억원을 확보했다.

▲ 7_1. 아주대학교병원 건립을 위한 업무 협약식4
최종환 파주시장과 박형주 아주대학교 총장이 파주에 아주대병원 건립위한 협약식을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파주시 제공

■ 아주대학교병원 유치 등 삶의 가치 높혀

파주시민드로서 노인ㆍ장애인은 물론 어린이, 국가유공자, 교통약자들의 자존감을 회복시킨 2년이었다. 노인일자리와 장애인일자리 확대와 관련 복지시설을 꾸준히 넓혔기 때문이다. 예산을 다각도로 확보해 국공립어린이집을 확충했고 교통약자위한 맞춤형 셔틀버스, 바우처택시, 임산부전용차량 등도 운행했다. 특히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도 강화했다. 보훈명예수당을 인상했으며 자체 세탁이 어려운 시민을 위해 찾아가는 이동빨래방도 운영하는 등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약자의 배려와 돌봄으로 섬기는 행정을 실천했다. 시민들의 아픈 걱정도 크게 덜어 줬다. 파주메디컬클러스터를 조성해 숙원사업이었던 대학병원인 아주대병원을 유치했고, 국립암센터혁신의료연구단지도 확보하는 등 파주가 의료혁신도시로 변모하는 기틀을 완성했다. 아울러 치매안심센터와 문산권 산부인과를 개설했고, 산후조리비지원으로 1인당 50만원 지역화폐제공 등 저출산극복 맞춤형지원확대정책을 지속화하고 있다.

▲ 8. 파주시 국공립어린이집 신규개원
유아 등이 자유롭게 체험하며 학습할 수 있는 국공립어린이집이 파주에 대폭 확충되고 있다. 파주시 제공

■ ‘여성안심하세요’, 도시안전 정착 시켜

지난 2년은 여성안심 환경을 고착화시킨 획기적인 해였다. 전례없는 여성정책을 실시, 로고라이트 등 안전시설물 330여개소를 설치하는가하면 여성안심 귀갓길 환경개선과 안심귀가 마을버스 9개노선 25대를 운영했다. 혹한 등에 대비한 그늘막, 바람막이를 설치해 시민건강을 지켰고, 시민안전 보험가입으로 시민들이 자연재해 등 13종에 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례를 제정했다. 이와함께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및 도시안전망을 구축했고 대기환경시스템고도화, 미세먼지 대응 종합관리대책으로 고농도 초미세먼지 절감에 노력을 병행하는 등 도시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