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서울시 기만행위 그만해야, 서울시 기피시설 철거할 수도”

이재준 고양시장

고양시가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일방적으로 은평차고지 개발계획을 발표한 서울시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했다.

고양시는 16일 서울시의 일방적인 입장 발표가 도시계획의 기본인 연담화 방지를 위한 노력이 전혀 없으며 경계지역의 계획과의 균형성을 상실했다고 지적했다.

도시연담화는 중심도시의 팽창과 시가화의 확산 등으로 인해 주변 중소도시 시가지와 서로 달라붙어 거대도시가 형성되는 현상이다.

서울시는 그간 이러한 노력과 책임 등을 고양시에 떠넘기고만 있었다. 실제 고양시 면적의 절반가량인 119.26㎢가 서울시의 맑은 공기를 위해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다.

이재준 시장은 “논란이 되고 있는 은평차고지도 고양시 향동지구 초입에 위치해 관할 자체가 사실상 고양시라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서울시만의 일방적인 개발계획 발표는 잘못됐다”라며 “서울시가 수색차량기지 개발을 위해 은평차고지 맞은편 고양시 땅에 기지창을 옮기자고 하면서 자신들의 땅은 고급 아파트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은 어불성설”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서울시의 책임 회피 사례는 다양하다. 이미 고양시내 대표적인 서울시 기피시설 중 하나인 서대문구 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이 지역주민의 강력한 반대에도 지하화 전 재가동을 준비하고 있고, 고양시가 지속적으로 요구한 고양선~서부선 직결, 제2자유로~합정방면 BRT 구축 등은 검토조차 되고 있지 않다.

고양시는 서울시가 지난 9일에 더 이상 경기ㆍ인천까지 철도 직결 연장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등의 행동은 상생협력의 정신을 스스로 위반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서울시가 말로는 인근 도시와 상생협력하겠다고 하면서 개발편익만 취하고 고통과 부담은 인근 도시로 미루는 양면적 행정이라는 것이다.

이재준 시장은 “다수의 서울시 기피시설들이 고양시가 설치 운영 중인 입장에서 서울시는 고양 시민의 억장 무너지는 소리를 당장 멈춰야 한다”라며, “이런 기만행위가 지속될 경우 서울시 기피시설의 용도를 공원 등으로 변경 지정함은 물론, 사용기한 연장 제한과 철거까지도 명할 수 있음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일갈했다.

고양=최태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