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과의 약속을 가슴 깊이 새기며 초심을 잃지 않고 열심히 뛰겠습니다.”
김 시장은 올해 흔들리지 않는 안성 시정 원칙에 따라 기본과 기초에 더욱 충실한 시정운영으로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민선 7기 추진하는 각종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고 구체적인 성과를 만들어 내면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위기 극복과 현안 사업을 차질없이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혁신 원년의 해’ 19만 안성시민의 생활을 살피고 일자리도 만드는 ‘로컬 뉴딜’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는 김 시장의 핵심 행정1호는 민생 살리기에 있다.
이는 김 시장이 시민 일자리를 비롯한 시민의 가계와 살림살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길에 시정의 모든 힘을 모으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김 시장은 “지역경제 활성화의 최선은 일자리 창출이며 좋은 일자리를 발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하고 싶은 사람은 모두 일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제도적 기반을 확충하는데 행정이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다.
김 시장은 청년 일자리의 경우 직업훈련과 창업지원, 저소득층에 대한 직접 일자리 창출에 나서 청년들의 사회진출 기반이 정착되도록 지원에 나설 것을 천명했다.
또 사회적 경제의 주체인 사회적 기업ㆍ협동조합ㆍ마을기업이 지역에 튼튼하게 뿌리내려 양질의 생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어르신들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적합한 일자리 1천 개를 신규 발굴하는 등 모두 2천800여 개의 일자리로 노인복지 향상에 이바지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범마을 4개소에 마을 공동형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소속감 고취와 노년기 소득 보전을 통한 생활안정을 도모시킬 방침이다.
전통시장은 사업과 문화와 이벤트가 있는 시장 운영을 통해 자생을 유도하고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의 피해를 줄이는데 행정력을 모으는데 주력하고 있다.
420억원의 지역 화폐 확대발행과 특례보증 확대, 1천여 개 업체의 경기도 공공배달앱 참여 등 다양한 지원으로 서민경제의 어려움을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김 시장은 이 밖에도 23만평 규모의 안성테크노밸리 산업단지, 경기 반도체클러스터 편입을 통한 안성을 신성장 거점도시로서의 기틀을 마련하는데도 힘을 쏟고 있다.
김 시장은 "18만평 규모의 안성 스마트코어 폴리스 산업단지, 80만평 산업단지 물량 확보 등 반도체 산업 배후 도시로서의 성장동력과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