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디지털기반 노후ㆍ위험시설 안전관리시스템 연말까지 구축

안전관리시스템 대시보드 예시

고양시는 연말까지 위험도가 높은 시설 146곳을 중심으로 디지털기반 노후ㆍ위험시설 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고 11일 밝혔다.

행안부 주관 디지털 기반 노후ㆍ위험시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되면서 확보한 국비 8억원 등 16억원이 투입된다.

이 사업은 지역 내 노후 위험시설의 사고위험 정도를 IoT(사물인터넷) 센서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사전에 감지, 위험을 예방하는 프로젝트다.

시는 이에 따라 급경사지 등 후보지 146곳에 대한 안전을 진단, 위험도가 높은 시설물부터 안전관리시스템을 적용한다.

대상 시설물에 진동, 기울기, 균열 등 위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IoT 센서도 설치해 스마트시티지원센터의 IoT플랫폼으로 데이터를 모으고 이를 빅데이터 플랫폼 ‘빅토리(BICTORY)’를 활용해 위험분석과 예측 등도 진행한다.

이 시스템이 구축되면 비상상황 발생이 우려될 경우 시민안전센터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과 조기경보시스템 등을 통해 신속한 상황전파와 대응 등이 가능해진다.

특히 행안부 GIS(지리정보시스템) 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과 연계, 범정부 차원의 재난대응 협력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공동 인프라도 구축된다.

시는 앞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노후인프라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예방적 유지관리 기술, 인프라 노후도 평가 및 서비스 플랫폼 연구, 예방적 유지관리를 위한 정기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기술, 국가 인프라 자산관리체계 구현 기술 등에 대해 자문받았다.

이재준 시장은 “108만 시민안전을 최우선으로 지키는 데이터 기반의 첨단 안전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고양지역 전체 건축물 수는 31만4천605호이고 이 중 30년 이상인 노후 건축물은 1만8천437호(5.9%)다. 특히 지난 1990~1999년 지어진 건축물이 15만231호로 전체 건축물의 약 48%를 차지, 앞으로 노후 건축물에 대한 관리방안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고양=최태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