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경계…킨텍스이중고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경계…이중고의 킨텍스

킨텍스가 코로나19는 물론 민간기업과 공기업 경계에서 이중고를 겪으면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마이스산업은 지난해 3월부터 1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로 대부분의 행사가 취소 혹은 연기됨에 따라 큰 어려움에 처해있다.

23일 한국전시주최자협회에 따르면 국내 마이스업계는 코로나19 이후 약 5조원의 매출손실을 기록했다. 국내에서 열리는 전시회는 지난해 2월부터 지난달까지 모두 3차례에 걸쳐 8개월간 중지됐고 예정됐던 국제회의도 약 80%가 취소됐다.

킨텍스는 지난 2019년 당기순이익이 160억원이었지만 지난해는 246.25% 감소한 234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공기업으로써의 어려움도 닥쳤다.

상법상 주식회사지만, 타 주식회사들과 달리 희망퇴직ㆍ권고사직ㆍ구조조정 등 자체적인 경영자구책 마련이 불가하다.

하지만 국ㆍ도ㆍ시로부터 재정지원은 일절 받지 못하고 있다.

김봉석 경희대 컨벤션경영학과 교수는 “공익성과 사업성을 둘 다 존중해야하지만, 형태가 주식회사인만큼 조금 더 기업에 자율성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경영평가도 주식회사인 킨텍스의 특수성을 고려, 평가기준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ㆍ최태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