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은 농업만큼 중요한 것도 없습니다. 풍요로운 안성의 농업을 만들고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김보라 안성시장이 미래농업 육성을 통해 안성의 농업을 지키고 농민의 생존권을 보장, 소득 불평등 해소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농민 기본소득 지급은 경기도조례 제정 즉시 본격 추진할 수 있도록 안성시 기본소득 지원조례 입법화 등 사전 준비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농업 관련 부서를 농업기술센터로 이전하는 조직개편으로 공직업무 효율성을 극대화 중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물관리체계를 위해 올해 지역 내 19곳을 시작으로 오는 2025년까지 46곳에 농업용수관리 자동화시스템을 구축, 용수절약과 영농불편 등을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청년들이 안성에서 농업을 배우고 농촌에 성공적으로 정착, 마을에 새로운 활력이 될 수 있도록 정책자금도 우선 지원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청년희망씨앗 프로젝트사업, 영농정착지원금 지급 등을 통해 청년후계 농업인을 육성, 지속 가능한 영농생태를 조성한다는 게 김 시장의 복안이다.
이와 함께 지역에서 생산하는 농산물은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에 대한 믿음을 담아 안성맞춤 푸드플랜을 수립, 중ㆍ소농 소득보장에도 나선다.
김 시장은 경로당 469곳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공공급식 시행과 오는 11월 준공을 목표로 농산물 산지유통센터 건립도 추진, 먹을거리 공급확대 구축에도 나선다고 설명했다.
안성맞춤 브랜드와 지역별 특화 서브브랜드 간 연계화를 통해 유통 다변화도 모색하고 판매 활성화를 도모, 농가소득 창출도 유도키로 했다.
김 시장은 이 밖에도 안성 농산물 수출 확대를 위한 새로운 해외시장 개척과 수출 물류비ㆍ해외시장 판촉행사 지원 등 해외판로도 확대한다.
맞춤형 귀농ㆍ귀촌교육과 농업인대학을 내실있게 운영하고 안정적인 농업ㆍ농촌정착 유도와 농업 전문경영인 양성에도 행정을 지원한다.
김 시장은 향후 안성을 미래 창조주력산업으로 농업을 육성, 농업이 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지속 가능한 사업으로 이끈다는 복안이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