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4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영국 런던 로이터 통신에서 ‘디지털’이라는 아주 난해한 주제로 연수를 받던 때의 일이다. 매일 반복되는 연수 프로그램 속에서도 짬짬이 시간을 내가며 런던 브리지와 캐나다워터, 카나리워프 인근 펍(Pub)에서 수제 맥주를 마시며 런던의 밤거리를 몸소 체험하면서 쉼 없이 앞만 보고 달려오던 자신에게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도록 ‘힐링 타임’을 선사했던 그때가 그리운 요즘이다.
3개월의 연수 기간 동안 앞으로 남은 인생을 함께 벗으로 지낼 소중한 동지들도 만났고, 또 영국 현지에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준 멋진 선후배들과도 인연을 맺었다. 이후 향수병이 아닌 ‘런던병’이 걸릴 만큼 사진과 동영상을 틈틈이 보며 영국의 추억을 곱씹어왔다.
다시 한번 꼭 그때의 런던을 느껴보리라 다짐해왔는데, 지난해 초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강타했다. 향후 5년간은 자유롭게 외국을 못 다닐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더해지면서 나의 다짐은 점점 내 일이 아닌 것처럼 느껴질 만큼 마음속에서 소원해지기 시작했다.
그런데 엊그제 언론매체를 통해 너무나도 반가운 소식을 접했다. 영국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을 마치고 본격 경제활동 재개에 나섰다는 얘기였다.
현재까지 1차 접종을 한 사람은 3천219만명, 2차 접종까지 끝낸 사람은 765만명에 달한다고 한다. 영국 성인의 58.5%가 백신을 최소 1차례 맞은 셈이다. 유니버시티칼리지오브런던(UCL) 연구팀은 지난 12일 코로나 면역력을 지닌 영국 국민 비율이 73.4%에 달하게 된다는 예측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면서 첨부된 사진들 속 장소가 먼저 눈에 띄었다. 코벤트가든에서 담소를 나누는 연인들, 런던 최고의 번화가인 소호거리에서 맥주를 마시며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시민들, 트라팔가 광장에서 마스크를 벗은 채 독서를 하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며 4년 전 그때로 잠시 돌아간 것 같은 착각을 느꼈다.
반면 그 소식과 사진을 접하며 씁쓸한 생각도 함께 들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K- 방역’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가며 코로나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일찌감치 승리 선언을 하며 샴페인을 터트렸던 우리의 모습이 오버랩 됐기 때문이다. 지금의 대한민국은 어떤가. 하루 확진자가 1천명이 넘어서는 일도 다반사였고, 최근 들어서는 500~600명대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다가 14일 현재 97일 만에 700명이 넘어서면서 급기야 하루 확진자가 두 배로 늘어나는 ‘더블링’을 걱정하는 상황까지 직면하게 됐다. 뒤늦은 대처는 우리나라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자영업자의 생계를 위협하다 못해 이제는 막다른 골목으로까지 내몰고 있다. 백신을 구하지 못한 책임을 뒤로하고 ‘점오 단계’라는 터무니 없는 거리두기 단계까지 만들어가며 인원수, 영업시간 제한이라는 1차원적이며 단기적인 대책을 만들기에 급급했다.
국민들은 바보가 아니다. 그들의 고요한 외침이 부메랑이 돼 다시 돌아올 것이다. 이미 4·7 재보선에서 그 움직임은 시작됐다. 일상을 되찾은 영국을 본보기 삼아 지금이라도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는 정부의 책임 있는 자세를 보고 싶다.
김규태 경제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