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로컬이슈:해설] 도시철도 정치인 치적 쌓기 안돼...수요예측 필수
지역사회 로컬이슈

[로컬이슈:해설] 도시철도 정치인 치적 쌓기 안돼...수요예측 필수

용인경전철과 의정부경전철 등 도내에서 선제적으로 운영 중인 도시철도 사업이 적자난과 안전 문제 등으로 크고 작은 내홍을 겪은 가운데 경기남부를 중심으로 교통편의 증대를 위한 도시철도 구축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현실성 있는 수요예측과 기존의 자가용 및 대중교통 이용객들을 도시철도로 유입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 등이 수반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지자체장 등 정치인 치적 쌓기용이 아닌 실질적인 ‘시민의 발’ 역할을 하는 교통체계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지역에는 총 3개의 도시철도가 운영되고 있다. 2012년 7월 개통한 의정부경전철(발곡~탑석)과 2013년 4월 개통한 용인경전철(기흥~전대ㆍ에버랜드), 2019년 9월 김포도시철도(김포공항~한강신도시) 등이다.

이밖에 수원시와 성남시, 화성시 등이 관내 도시철도 구축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가장 앞서 있는 지역은 화성이다. 화성시는 9천770여억원을 들여 오는 2027년까지 동탄지역을 순환하는 동탄 트램을 건립할 계획이다. 이 사업을 위해 경기도는 지난 1월 ‘동탄도시철도 기본계획(안)’을 확정하고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 승인을 신청했다.

수원시는 1천760여억원을 들여 수원역과 북수원을 잇는 트램 구축을 계획 중이며, 성남은 성남1호선(판교역~성남산업단지)과 성남2호선(판교차량기지~판교지구ㆍ정자역) 등 트램 2개 노선 건립을 위해 5천920여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아울러 경기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오이도연결선(오이도역~오이도), 송내-부천선(송내역~부천선), 스마트허브노선(오이도역~한양대역) 등도 추진 예정이다.

이처럼 도내 도시철도 인프라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실효성 있는 도시철도 교통체계 구축이 수반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우선 전문가들은 도시철도 조성 시 가장 초점을 맞춰야 할 점은 경제성이라고 입을 모았다.

고준호 한양대 도시대학원 교수는 “도시철도 대부분이 경제가 계속 발전하면서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난다는 가정으로 계획돼 현실과 동떨어진 부분이 있다”며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사회의 현실을 고려해 냉정하고 정확한 수요예측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도시철도 적자의 두번째 이유는 직접 타보니 생각보다 기존 대중교통보다 편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가격도 고가인 데다 접근성이 떨어지고 다른 교통수단과의 환승체계도 불편하다”며 “이런 불편함을 감수하면서도 시민들이 도시철도를 이용하도록 유인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기존 교통수단과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경우 한양대 교통물류공학과 교수는 “유럽은 도시철도가 성공한 대표적 지역인데 우리나라와 가장 큰 차이는 바로 건설비용 부분이다. 유럽은 기존 철도노선을 활용해 경전철 등을 조성, 비용 부담이 적었다”며 “국내 도시철도는 결국 지하철이 들어서지 못하지만, 수요는 있는 지역에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비용 절감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로컬이슈팀=하지은ㆍ이정민ㆍ채태병ㆍ김현수ㆍ최태원ㆍ노성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