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기도 개별공시지가가 지난해 대비 9.31%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에서 가장 비싼 땅은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현대백화점 부지로 ㎡당 2천645만원, 가장 싼 곳은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임야로 ㎡당 573원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1월1일 기준 도내 465만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를 31일 결정ㆍ공시했다.
경기도의 2021년 개별공시지가 평균 상승률은 9.31%로 지난해 5.48%보다 3.83%p 올랐다. 지가가 상승한 토지는 454만675필지(97.7%), 하락한 토지는 10만1천807필지(2.2%), 변동이 없는 토지는 5천887필지(0.1%)로 각각 조사됐다.
개별공시지가가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위례신도시ㆍ감일지구 등 개발사업이 많은 하남시로 13.21% 상승했다. 이어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 등의 영향으로 과천시가 13.08%, 재개발사업 및 수인분당선 등의 영향으로 수원시가 12.77% 등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파주시(5.51%), 연천군(6.87%), 동두천시(7.00%)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와 함께 경기도에서 가장 비싼 땅은 지난해(㎡당 2천370만원)와 같은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현대백화점 부지로 ㎡당 2천645만원이었다. 반면 가장 싼 곳은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임야로 ㎡당 573원(지난해 ㎡당 525원)이었다.
개별공시지가는 31일부터 시ㆍ군ㆍ구청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6월 초부터는 경기부동산포털에서 지도 기반으로 공시지가를 조회할 수 있다. 결정된 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토지소유자나 이해관계인은 6월31일까지 토지가 소재하는 시ㆍ군ㆍ구청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홍지선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개별공시지가는 종합부동산세ㆍ재산세ㆍ취득세 등 토지 관련 국세, 지방세 및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 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앞으로도 정확한 토지특성조사와 전문 감정평가사에 의한 공정한 지가검증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