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속적인 기온 상승으로 인한 기후위기를 맞은 가운데 이를 방치한 미래에는 도내 특산물인 ‘포천 사과’가 사라지고, 감염병 ‘말라리아’가 창궐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탄소중립의 필요성 및 비전을 공론화하고, 사회 전 분야가 참여하는 협약을 통해 현실성 있는 실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제연합(UN) 산하의 기후 관련 협의체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는 인간활동이 대기에 미치는 복사량으로 정한 온실가스 농도를 대표농도경로(RCP)라 정의하고 있다. 이 가운데 RCP 8.5 기준은 온실가스 배출이 감소하지 않고 현재 추세로 유지될 경우를 뜻한다.
환경부와 기상청이 발간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에 따르면 RCP 8.5 기준으로 미래 시나리오 분석 시 국내 전체 농경지 면적 중 23.2%인 사과 재배 적지(適地)가 오는 2100년에는 0%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같은 기간 사과 재배 가능지도 34.4%에서 0.2%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결국 국내에서 사과 재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시피 돼 도내 특산물인 ‘포천 사과’도 자취를 감추게 되는 셈이다.
또 평균기온이 1℃ 상승할 때마다 성체로 부화하는 모기 수가 27%가량 늘어나고, 그에 맞춰 도내 말라리아 발생위험도 약 12.7% 증가할 것이란 예상도 나왔다.
과거 연도별 수도권 평균기온을 보면 30년 주기(1980년대 11.5℃→2010년대 12.6℃)로 약 1℃의 기온이 올랐다. 과거와 달리 현재는 도시개발 및 산업화 등이 상당히 진행된 만큼, 온실가스 저감 노력이 없으면 기온 상승도 가속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와 관련 고재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탄소중립 필요성 및 비전을 공론화하기 위한 단기계획을 마련,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후위기 대응계획 대부분이 여건이 바뀔 때마다 목표연도만 수정하고, 실행에 장애가 되는 원인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며 “세부적으로 ‘누가,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가 구체화돼야 정책이 순항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동빈 기후위기경기비상행동 공동실행위원장은 공적기관뿐 아니라 이해당사자, 일반 시민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협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 위원장은 “탄소중립을 외치기만 하는 것과 실제로 실현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다. 정책이 지속성을 갖고 추진되려면 탄소중립으로 변화를 맞을 산업ㆍ경제 등 분야의 이해당사자들과 협의가 필수적”이라며 “사회적 협약으로 현실성 있는 탄소중립 실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