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19일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 만나 수사 협조
김원준 경기남부청장 “이재명 소환, 현재로선 불필요”
성남시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수상한 자금 흐름에 대한 계좌 추적으로 ‘의미 있는 성과’가 나왔다고 강조했다.
또 19일 같은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과 처음으로 만나 공조 수사 논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혀 ‘중복 수사’에 대한 우려를 털어낼지 주목된다.
1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기남부경찰청ㆍ경기북부경찰청 국정감사에서 김원준 경기남부청장은 ‘체감할 수 있는 수사 성과가 딱히 없다’는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의 질타에 “계좌 추적을 열심히 진행 중이며 분명하게 의미 있는 성과가 있다”고 답했다.
앞서 경기남부청 전담수사팀은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넘겨받은 자료를 분석, 최근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씨를 비롯한 관계자에 대해 계좌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다만 첫 영장 신청에서 검찰의 보완수사 요구로 일정이 다소 지체되기도 했다.
이어 김 청장은 ‘김만배씨가 곽상도 전 의원 아들의 병명을 보면 50억원 퇴직금이 상식에 부합한다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의원의 질문에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병명에 대해서는 “이 자리에서 말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곽 전 의원 아들 병채씨는 지난 2015년 6월 화천대유에 입사한 뒤 보상팀에서 근무하다 올해 3월 퇴사했다. 그는 입사 이후 세전 230만~380만원 상당의 급여를 받아왔고, 퇴사하며 퇴직금ㆍ위로금 등 명목으로 50억원을 받았다. 세금을 떼고 실수령한 금액은 28억원으로 알려졌다.
이날 경기도 국감이 ‘대장동 이슈’로 뒤덮였던 것에 이어 경기경찰 국감도 같은 양상을 보였는데, 행안위 소속 의원들은 여야 구분없이 경찰을 향해 수사 성과가 미진하고 검찰과의 수사 협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취지의 지적을 이어갔다.
이에 대해 김원준 청장은 “내일(19일)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과 만나 이 사건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사할지 논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같은 사건을 놓고 따로 수사 중인 검경은 현재까지 이른바 ‘핫라인’을 구축해둔 것 외엔 별다른 수사 협조를 진행하지 않았다.
이렇다 보니 유동규 전 경기관광공사 사장(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지인 A씨의 자택에 대해 경찰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하고, 검찰은 별도로 영장을 법원에서 발부받아 강제수사를 진행하는 등 엇박자를 내는 모습을 보였다.
유 전 사장 지인이자 재혼 상대로 알려진 A씨의 자택에선 유 전 사장이 과거 사용하던 휴대전화가 발견됐고, 결국 경찰의 수사 아이템을 검찰이 가로챈 것 아니냐는 빈축을 사기도 했다. 이 휴대전화는 앞서 유 전 사장이 창밖으로 던진 뒤 경찰이 확보했던 것과 다른 휴대전화다.
이 밖에도 국민의힘 이영 의원은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본인이 대장동 개발사업을 설계했다는데 왜 소환하지 않나, (이 지사에 대한) 계좌 추적은 하고 있나’라고 질의했고, 김 청장은 “필요하다면 하겠지만, 현재로선 필요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이후로도 이 의원이 소환을 주장하자 여당 의원들은 수사 대상이 아닌 이 지사를 소환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항의하기도 했다.
양휘모ㆍ장희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