킨텍스가 21일 사업제휴와 전시컨벤션센터 운영 등을 통해 기업들의 해외진출을 돕는 등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마이스플레이어로 거듭나고 있다.
킨텍스는 지난 2018년 서남아시아 최대 규모로 인도 뉴델리에 건립되는 인도국제전시컨벤션센터(IICC) 운영권을 수주하면서 국제적인 네트워크와 전시장 운영능력을 인정받았다.
최근에는 서울 잠실 마이스(MICE) 시설 공모와 관련해 한화건설과 하나금융투자, 현대산업개발 등으로 구성된 민간 컨소시엄에 참여해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초기에 안정적 운영을 위한 노하우 전수와 글로벌 플랫폼화에도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 인도는 13억 인구가 밀집한 서남아 최대 시장으로 코로나19 확산 이전 전시회는 연평균 12%, 컨벤션 행사는 연평균 15% 이상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던 곳으로 잠재가치가 매우 기대되는 곳이다.
킨텍스는 IICC 운영이 국내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판로개척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서남아시아에 진출한 글로벌 주최 기관들과의 사업제휴를 준비해 오고 있다.
내년부터는 경기도와 서울 및 인도 등지를 유기적으로는 잇는 마이스 트라이앵글 전략을 발판삼아 전시컨벤션산업 국제화와 세계화 등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세계 최대 전시 주최자인 영국 Informa Markets와 최대 컨벤션 주최자인 스위스의 MCI Group 등 유럽과 미주 등지의 주요 전시컨벤션 행사 주최자들과 신규사업을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 중이다.
이외에도 인도에 진출한 글로벌 주최기관들과도 지속적으로 공동사업 의향을 타진하는 등 한국과 인도를 넘나드는 국제 마이스 교류사업을 추진 중이다.
서남아시아 최대 무역전시협회인 인도 IEIA 회장 소냐 프라샤(Sonia Prashar)는 “킨텍스는 아시아에서 보기 드물게 글로벌 주최사들의 신뢰를 받고 있으며 모범적인 전시장 방역 성과 등으로 이미 전시장 운영능력을 인정받았다”며 “현재 인도를 포함한 서남아시아 주최자들은 한국과 킨텍스를 최적의 국제행사 장소로 고려하고 다수의 글로벌 무역전시회 교류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화영 대표이사도 “코로나19로 마이스산업이 어려움에 봉착해있는 와중에도 킨텍스는 글로벌 사업교류면에서 질적ㆍ양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국내외 전시장 운영사업에 진출하고 글로벌 마이스 행사들을 개최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 국내 중소기업들이 해외로 사업영역을 넓혀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양=유제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