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화한 시대에 맞는 뮤지엄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공짜로 관람객을 확보한다는 문화예술 양적 팽창을 넘어, 질 높은 콘텐츠를 선보이고 문화예술을 가치있게 대하는 문화를 만들어 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내 박물관미술관 전체 189곳 중 무료로 운영되는 곳은 123곳(65%), 유료는 66곳(35%)이다. 이 외 주요 국공립미술관박물관도 대부분 무료로 운영 중이다. ‘국민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 차원에서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립 박물관과 미술관도 유료화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9월 뮤지엄 무료를 원칙으로 한 서울시 조례에 대한 개정안이 시의회에서 발의돼 현재 논의 중이다. 서울시도 박물관과 미술관의 합리적인 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유료화에 긍정적인 반응이다. 만약 개정안이 통과되면 서울역사박물관 등 시립·구립 박물관 20개와 미술관 7개가 입장료를 받는다.
김준기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실장은 “‘싼 게 비지떡’이라는 인식에 관람 태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공공뮤지엄은 공짜이니 관광객이나 관람객을 차로 실어나르고, 상대적으로 사립뮤지엄은 운영 어려움이 가중된다”며 “장기적으로 뮤지엄 관광과도 연결하려면 반드시 공공뮤지엄의 유료화가 도입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무료 논쟁과 함께 경기도뮤지엄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고민과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1일 경기문화재단에서 열린 <경기도 공공뮤지엄 유료화 정책전환 자문회의>에서는 “과연 유료화 할 자격이 되냐 통렬한 자기반성이 있어야 한다”는 내부 목소리가 나왔다. 수준 높은 뮤지엄을 위한 재투자 등 관람 환경 개선이 함께 개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도뮤지엄의 유료화가 당장 실현되기에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2017년 도의회의 조례 개정으로 무료화가 추진된 만큼, 조례 개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코로나19 이후 활발해진 온라인 관람 문화와 소비 진작을 위한 정부의 각종 무료 쿠폰 발행 등도 유료화 공감대 형성에 방해 요소다.
손희정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의원(더불어민주당, 파주2)은 지난 1일 참석한 자문회의에서 “무료화로 인한 문제점도 알 게 됐다. 단 한 번에 조례개정을 하기엔 어려울 테지만 조금씩 유료화를 추진하되, 페이백을 시행해 지역화폐로 일부 돌린다거나 완충지대가 있다면 이용객이나 운영주체에서도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헌 경기문화재단 대표는 “관람객이 머무르는 시간에 문화수용 행위를 더 가치있게 만들기 위해 유료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장기적으로 문화예술의 가치를 위해서 박물관미술관의 유료화가 맞는 만큼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사립박물관과 상생하고, 경기도뮤지엄이 질 높은 경기도의 자산이 되도록 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