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올해 고령사회를 거쳐 2027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2047년에는 인천시민 3명 중 1명 이상이 만 65세 이상의 노인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면서 노인복지정책의 중요성도 함께 커지고 있다.
28일 인천시와 경인지방통계청 등에 따르면 인천의 노인인구 비율은 2000년 5.5%(13만7천591명), 2010년 8.4%(23만63명), 2015년 10.5%(30만3천417명)에 이어 올해 14.3%(42만2천75명)까지 올라갔다. 노인인구 비율이 14%를 넘어간 인천은 올해부터 고령사회에 진입했다고 볼 수 있다. 유엔(UN)은 노인인구 비율에 따라 고령화사회(7% 이상), 고령사회(14% 이상), 초고령사회(20% 이상)로 구분한다.
인천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이는 시점은 2027년이다.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에 따른 2027년 인천의 노인인구 비율은 20.7%(62만1천814명)에 달할 전망이다.
특히 2047년에는 인천의 노인인구 비율이 무려 37.8%(111만2천692명)까지 상승한다. 이 같은 변화에 맞춰 생산연령인구(직업에 종사할 수 있는 인구 계층) 100명이 부양하는 노인인구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 역시 올해 19.4명에서 2027년 29.9명을 거쳐 2047년 71.1명까지 늘어난다.
군·구별로는 강화군과 옹진군의 노인인구 비율이 2037년 각각 54.1%, 46.9%까지 올라간다. 상대적으로 노인인구 비율이 적은 연수구와 서구의 2037년 노인인구 비율은 각각 24.1%, 25.9%이다.
또 인천의 전체 가구 중 가구주가 노인인 가구의 비율은 올해 20.5%(23만2천가구)에서 2027년 28.6%(34만7천가구), 2047년 49.4%(65만가구)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이 중 노인이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비율은 올해 32.9%(7만6천가구), 2047년 38.4%(25만가구)에 이른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노인이 혼자 사는 1인 가구 등이 점차 늘어날 인천에서는 앞으로 노인복지정책의 중요성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태다. 이 같은 여건을 감안해 시는 내년부터 다양한 노인복지정책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다. 당장 시는 내년 노인복지 관련 신규 정책으로 고령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어르신 놀이터 시범사업’, 초고령사회 진입을 대비하기 위한 ‘WHO 고령사회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인증’ 등을 추진한다.
어르신 놀이터 시범사업의 내년 대상시설은 송도노인복지관 등 7곳이다. 이들 시설에는 노인의 유연성·균형감각·인지능력 등을 고려한 운동기구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시는 고령사회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 인증과 관련해 고령친화도시 가이드 8대 영역에 대한 분야별 지표를 만들고 지역의 여건 등을 고려한 실행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이 고령사회를 거쳐 앞으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관련 노인복지정책을 끊임 없이 발굴·추진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