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 76%, 일상회복 지원금 “바람직”

내년 사회적 거리두기 및 오미크론 대비 중증환자·사망자 축소 초점

정부가 내년 ‘사회적 거리두기’를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특성에 맞춰 개편하는 동시에 중증환자·사망자의 억제를 중심으로 완화한다.

30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행정안전부·식품의약품안전처·질병관리청은 이날 내년에 추진할 코로나19 방역 대응 합동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내년부터 오미크론이 국내에서도 우세종으로 자리잡을 것을 대비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개편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중증 환자와 사망자 규모를 줄이는 데 사회적 거리두기의 초점을 둔다. 이는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종전의 변이바이러스보다 강한 반면에 위중증률이 낮은 점을 감안한 것이다. 또 정부는 오미크론 전파 상황에서의 병상 가동률, 변이 등 유행 상황, 예방 접종률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에 반영할 예정이다.

다중이용시설에 적용 중인 방역패스에 대해서도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대상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실·내외 여부와 밀집도 등을 고려해 방역적 위험도가 낮은 시설부터 의무 적용을 해제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정부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내년에도 백신을 충분히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당장 정부는 내년부터 2조6천억원을 투입해 화이자 6천만회분, 모더나 2천만회분, SK바이오사이언스 선구매 1천만회분 등 모두 9천만회분의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환자가 중증환자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경구용 치료제 역시 100만4천명분을 도입한다.

한편, 시가 22~24일 인천에 사는 만 19세 이상의 시민 1천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방역대책과 민생대책 시민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0.3%가 시의 일상회복 지원금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20일부터 인천에 주민등록을 둔 내·외국인으로부터 신청을 받아 1명당 일상회복 지원금 10만원을 주고 있다. 이 같은 일상회복 지원금에 대해 응답자의 76.4%는 ‘매우 바람직하다’ 또는 ‘바람직한 편이다’라고 답했다.

이와 함께 시의 전반적인 방역대책에 대해 응답자의 69.7%는 ‘매우 잘하고 있다’ 또는 ‘잘하는 편이다’라고 답했을 뿐만 아니라, 시정 운영 전반에 대해서는 53.1%가 ‘잘하고 있다’라고 응답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