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경기] 독서하기 좋은 용인시…책과 사람, 미래 잇는 도시로 ‘순항’

경기도내 31개 시군 공공도서관에서 대출 권수와 이용자수 모두 1위를 달성한 용인특례시. 코로나19 확산 속에서도 택배 도서, 비대면 도서 환경 구축 등 다양한 비대면 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용인시민이 뽑은 ‘2021년 10대 뉴스’에도 선정되는 등 독서를 향한 시민들의 관심 또한 뜨겁다. ‘독서하기 좋은 도시’ 용인시의 도서관 사업을 소개해본다. 편집자주

지난 1일 용인특례시 수지구 풍덕천동 수지도서관에서 백군기 시장과 관계자들이 리모델링 재개관 행사 테이프 컷팅식을 진행하고 있다. 용인특례시 제공

■수지도서관 리모델링 후 재개관…복합지식문화공간으로 재탄생

용인시 수지도서관이 7개월에 걸친 전면 리모델링을 완료, 지난 1일 도서관을 재개관했다.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의 생활SOC지원 공모사업 선정돼 국비(10억)와 시비(22억) 총 32억원을 들여 지하 1층~지상 3층의 개방형 복합문화공간(연면적 5059㎡)으로 탈바꿈했다.

기존 도서관 벽을 허물고 실별 출입문을 없애 개방형 구조로 개선했다. 자료실 곳곳에 700여 개의 다양한 좌석을 배치했으며, ICT(정보통신기술) 기반 스마트 라이브러리 시스템을 도입, 미래지향적 디지털 콘텐츠를 선보였다. 미디어월(1층 로비), 라이브러리 보드(각 층 엘리베이터) 등을 통해선 도서관 공지 및 시설 안내를 한다. 디지털 큐레이션(2층 홀)으로 도서 추천 등이 가능하다. AI 시스템을 도입, 자율주행 라봇(LaBot)이 어린이실에서 도서 이동 서비스를 담당한다.

수지도서관에 조성된 디지털 창작소 내부 모습. 용인특례시 제공

3층 디지털 창작소에는 시 최초로 가상·증강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VR·AR체험관, 프로그래밍을 통해 3D프린터나 레이저 커터기 등을 활용해 개인의 창작품을 출력할 수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개인 유튜버들이 직접 영상을 촬영해 편집·제작할 수 있는 미디어창작실이 운영되고 있다. 메이커 스페이스 공간에서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크리에이터 되기(초급자),감성 3D 북클립 만들기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난달 28일 용인특례시 청사에 새롭게 문을 연 스마트도서관 7호점에서 백군기 시장이 도서대출반납기를 이용하고 있다. 용인특례시 제공

■편리함을 이용하다…시민 편의 증진 ‘스마트 도서관’

용인시 스마트도서관은 도서관 방문 없이 도서 대출과 반납이 가능한 무인도서대출반납기다. 시는 도서관 방문이 어려운 직장인과 학생 등 시민들이 편하게 책을 빌려볼 수 있도록 하고자 지난 2016년부터 무인도서대출반납기 설치를 시작, 현재까지 기흥역과 죽전역, 운동장․송담대역, 성복역과 보정동, 신봉동 행정복지센터, 용인시청 등 총 7곳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스마트도서관에서는 지역 내 도서관의 대출 인기도서를 비롯 시민들이 선정한 올해의 책과 아동도서 등 400여 권을 만날 수 있다. 시 도서관 회원증을 소지한 시민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1인당 2~3권씩 대출할 수 있으며, 14일 이내에 반납하면 된다.

용인특례시 도서관 스마트 관제 시스템. 용인특례시 제공

■경기도 최초 ‘도서관 스마트 관제 시스템’ 구축

용인시는 지난해 경기도 최초로 지역 내 모든 공공도서관의 자가대출반납기와 도서반납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서관 스마트 관제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도서관 스마트 관제시스템은 18개 공공도서관에 설치된 자가대출반납기 등 총 102대의 자동화장비 대출·반납·장애 발생 현황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시스템 설치를 통해 장애 발생 여부를 즉시 확인하면서 이용자들의 불편에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 더구나 각 도서관에서 일일이 조회해야 했던 일일·주간·월별 대출·반납·예약현황 등도 바로 취합할 수 있어 데이터 관리 및 활용이 간결해졌다. 시는 추가적으로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준비 중이다.

지난해 10월 개관한 용인특례시 수지구 성복동도서관. 용인특례시 제공

■용인시, 2025년까지 도서관 3곳 추가 건립 목표

시는 110만 시민들이 보다 더 가깝게 책들을 만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서관을 연차적으로 확충하고 있다. 1993년 2월 중앙도서관을 시작으로 소규모 공공도서관을 포함 18곳의 도서관에서 책을 읽을 수 있다. 지난 2018년 9월 지하 1층~지상 2층(연면적 천382㎡)의 처인구 남사도서관, 지난해 9월과 10월에는 각각 기흥구 서농도서관, 수지구 성복도서관이 잇따라 개관하는 등 책과 사람, 미래를 이어가는 시의 도서관 정책은 현재 진행형이다. 시는 내년에 수지구 풍덕천동·동천동 일원에 용인 창의·과학도서관 준공을 앞두고 있다. 2024년에는 수지구 신봉동도서관, 2025년은 기흥구 보정동도서관이 개관할 예정이다.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에 자원봉사 활동비 지원까지

작은도서관은 도서관법에 따라 법인단체 또는 개인이 설립한 작은규모의 도서관을 말한다. 용인시는 지역사회의 생활밀착형 문화시설인 작은도서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 자원봉사자에 대한 실비보상금(활동비)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총 145개의 작은도서관이 운영되고 있으며, 시는 작은도서관이 보다 많은 시민들을 위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1곳당 최대 25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활동비를 통해 자원봉사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고정 인력 확보를 통해 시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작은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백군기 용인특례시장은 “용인시는 도서관 대출권수와 이용자수가 경기도내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도서관 이용과 독서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상당하다"면서 "이에 시도 시민들이 책을 통해 더 넓은 세상과 만날 수 있도록 도서관 확충과 다양한 독서문화서비스 제공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도서관이 지식 정보를 전달하고 문화적 즐거움을 제공하는 공간뿐 아니라 미디어 창작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용인=김경수·강한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