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지방선거_이것만은 해결하자] 남양주 평내호평하수처리장·군부대 이전 문제

image
부대 면적 약 30만㎡에 달하는 73단이 인접해 있는 3기 신도시 왕숙지구. 남양주시 제공

남양주시 내 택지개발 등이 이어지며 인구가 73만명까지 급증했다. 민선 8기 차기 남양주시장이 풀어나가야 할 과제들도 산적해 있다.

■호평·평내 하수처리장

오는 6월1일 지방선거 이후 남양주시에서 시급히 해결해야 될 문제 중 하나는 하수처리장을 꼽을 수 있다. 환경부는 지난해 말 호평·평내 지역에 하수처리장을 신설하고 기존 진건과 지금 처리장을 증설하는 내용의 하수도정비계획을 승인했다. 호평·평내 지역에서 발생한 오·폐수는 지난 2004년부터 13㎞가량 떨어진 진건푸른물센터(하수처리장)에서 처리돼왔다. 그 사이 남양주시가 개발되면서 인구가 늘어 진건푸른물센터는 과부하 상태인 데다 하수관이 낡아 일부 하수는 유입 과정에서 새기도 하는 실정이다. 이에 남양주시는 지난 2020년 호평·평내 지역에 하루 4만1천t의 하수를 처리할 시설을 새로 건립하는 계획을 세우고 후보지 1곳을 검토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샀다. 또 남양주시가 후보지 3곳을 추가하는 과정에서도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불거져 시의회에서도 논란이 됐다.

하수처리장 신설 여부는 물론 구체적인 위치 선정까지도 주민들의 의견을 묻지 않고 시가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한 주민은 “주민들이 반대하면 한 번쯤은 이야기를 들어보거나 공청회라도 열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결국 환경부는 호평·평내 하수처리장 신설 계획을 승인하면서 주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이에 남양주시는 올해 설명회와 공청회 등을 열어 기존 후보지 4곳과 추가로 몇 곳을 더 검토한 뒤 최종 건립 후보지를 결정하기로 했다. 그러나 조광한 남양주시장의 갑작스러운 구속으로, 결국 민선 8기 당선자가 빠른 시일 내에 공청회를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립한 뒤 호평·평내 하수처리장 신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다.

image
남양주시 왕숙천유역 하수처리시설 설치 계획 평면도. 남양주시 제공

■73사단 군부대 이전

민선 8기 당선자에게 놓인 또 하나의 문제는 바로 73사단 군부대 이전이다. 지난해 10월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비축물자를 관리하는 동원부대 인력부족과 열악한 장비상태 등이 지적되면서 군부대 비축물자 저장시설이 낡고 오래돼 군사전략적으로 우려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에 시와 국방부 등은 같은 해 9월 73사단을 이전하기로 했다. 현재 3기 신도시인 왕숙지구 예정지에 인접해 있는 73사단의 부대 면적은 약 30만㎡에 달한다. 그러나 남양주시 일패동과 이패동 일원 239만여㎡에 조성되는 왕숙2지구에는 주택 1만4천가구가 건설될 예정으로, 고층아파트로 인한 부대 보안 악화 등 여러 문제가 예견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지난해 10월 국방부, 국방시설본부, 육군본부, 73사단 등과 함께 ‘1+4 협의체’를 구성하면서 지역 신도시 완성과 군부대 경쟁력 강화를 공동 목표로 세부적인 사업계획과 추진방안을 논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갑작스런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세로 시와 군은 대면 협의가 어려워 현재까지 추진된 사항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또한 민선 8기 당선자가 군부대와 실무협의를 진행해 풀어내야 할 하나의 과제로 남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