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지역 6만여 주민과 단체, 행정기관, 정치인 등이 추진한 초·중통합학교 신설이 1년 6개월여만에 결실을 맺게 됐다.
안성시는 공도읍 승두리 5번지 일원에 452억원을 들여 오는 2025년까지 추진하는 초·중통합학교 신설이 행안부 중앙공동투자심사를 통과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통과로 초·중통합학교는 초등학교 16학급(434명), 중학교 25학급(700명), 초·중특수 12명 등 모두 1천146명을 수용한다.
통합학교는 앞서 지난 2019년 9월 구역 지정과 개발계획 수립 고시 이후 도교육청 교육환경평가 심의를 통과한 후 재정투자심사에 상정했으나 재검토됐다.
이에 김보라 시장은 행정TF팀을 꾸리고 주민대표들과 간담회를 여는 한편, 교육지원청과 정보를 교환하고 통합학교 설립 TF팀을 구성하는데 두 팔을 걷었다.
주민들도 추진위를 꾸린 뒤 김학돈 주민자치위원회 협의회장을 필두로 서명운동에 돌입, 2만1천여명으로부터 지지를 얻어내면서 지난해 11월 도교육재정 투자심사 적정결과를 이끌어 냈다.
이 같은 민·관과 국회의원, 민주당 지역위원회 등 정치권이 모두 뭉쳐 주민 염원이 담긴 청원과 의지를 중앙당과 정부가 받아들이면서 통합학교 신설이 구현됐다.
성과의 주역은 김 시장의 책임 있는 지도력과 주민들의 행정과의 소통 등으로 청소년들의 미래를 밝게 해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인구 6만명의 공도읍은 142학급 3천723명의 학교 4곳이 있지만 신규 공동주택사업으로 늘어나는 꿈나무들의 교실 여유분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행정과 교육당국이 8개 지구 8천800세대 1천423명의 초등학생과 860여명의 중학생을 예측, 초등학교 1곳과 중학교 1곳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오는 2024년 아파트 건설사업으로 2천400여세대가 입주하면 초등학생 419명에 중학생 247명 등이 추가로 발생하면서 학교 신설이 시급했다.
김 시장은 이를 해결하고자 유은혜 교육부장관과 만나 공도읍 추가 학교 신설을 통해 합리적 학생배치를 도모하기 위한 학교설립 당위성을 지속적으로 건의했다.
한편, 통합학교는 교육청 297억원에 안성시가 83억원, 사업자가 72억원 등을 들여 주차장과 도서관, IT센터, 주민편의시설, 평생학습실, 프로젝트실 등이 반영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