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전문가들은 6·1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인천시장 후보들의 5대 공약에 대해 국민의힘 유정복 후보는 ‘구체성’,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후보는 ‘재정성’, 정의당 이정미 후보는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23일 경기일보는 지역 대학교수, 시민단체 활동가 등 5인의 지역 전문가에게 요청해 인천시장 후보들의 공약을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후보들이 이번 공약에 경제·개발·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담으려 한 점에 의미를 두고 있다.
하지만 공약의 차별성과 구체성, 재정지원 방안 등의 부족으로 실행 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영태 인하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유 후보의 일부 공약이 국민의힘 당론과 충돌하는 부분이 있어 실현 가능성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고, 구체적인 정책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박 후보의 공약은 지난 4년 동안 펼친 정책을 보강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실행 방안까지는 제시하지 못한다고 봤다. 이 후보의 공약은 실현 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서종국 인천대 도시행정학과 교수는 유 후보의 공약은 개발논리에 치중한 한계가 있고, 대규모 이상적인 사업을 제시해 구체성이 떨어진다고 평가했다. 박 후보는 선택과 집중에 의한 핵심 공약을 제시하지 못했고, 각 사업의 재원조달 방안이 구체적이지 못한 점을 문제삼았다. 이 후보에 대해선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강조한 공약을 실행하기까지 현실성은 낮다고 봤다.
변병설 인하대 행정학과 교수는 유 후보가 뉴홍콩시티, 100조 시대 제2경제도시 등에 대한 공약을 구체화하지 않은 점을 지적했다. 박 후보에 대해서는 농어민 공익수당 등 각종 수당 지급과 무상지원 공약이 선심성 행정이어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봤다. 이 후보의 공약은 탄소발생이 이뤄지는 산업지역의 개조 전략이 부족하다고 봤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유 후보는 수도권매립지 향후 활용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없는 상황에서 실천 방안의 구체성이 필요하고, 박 후보는 우선순위 공약들의 재원 확보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점을 꼽았다. 이 후보의 ‘인천시 공동정부 구성’ 등의 공약은 구체적인 방향을 가늠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박요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이들 후보들 모두 40~60세까지 생활전선에 생계와 생존을 위해 일하는 여성과 남성을 위한 지원이 없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또 세 후보의 공약이 세세한 면에선 다르지만 큰 틀에서 유사하다고큰 틀에서 유사하지만 차별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지역의 일꾼을 뽑는 지방 선거라 그럴 수 있다고 이해하지만, 각기 정당을 대표해 나온 후보임을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각 정당이 표방하는 이념과 가치를 각 후보가 어떻게 공약과 연결하고 또 반영하려 했는지에 대한 설명의 시도와 노력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민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