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의 제도화: 문화와 규범으로서의 평화를 가져오는 일치된 행동’ 주제
전쟁과 분쟁으로 인한 인간의 생명과 안전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HWPL 세계평화선언문 제9주년 기념식이 지난 25일 온라인으로 열렸다.
정치, 종교, 학계, 언론, 시민사회 대표 등 3천여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는 ‘평화의 제도화: 평화를 향한 공동 의지의 실현’을 주제로 지속 가능한 평화를 실현시키기 위한 국제 협력의 경과를 공유했다.
(사)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HWPL)이 지난 2013년 세계평화 선언문을 공표한 이후 각국 지도자들의 지지와 여성·청년의 참여, 전 세계 시민사회의 협력으로, 이 선언문은 지구촌 전쟁종식 평화 선언문(DPCW)으로 발전했다. 이 선언문은 국가, 국제기구, 비정부기구, 개별 시민들이 평화로운 세계를 위한 행동에 참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HWPL의 산하 단체인 국제청년평화그룹(IPYG)의 정영민 부장은 경과보고에서 “DPCW 지지서명에는 지난 9년 간 176개국 73만 명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최근엔 IPYG에서 교육, 인권, 분쟁 등 각국 청년들이 현실에서 맞닥뜨린 의제에 대해 토의하고 공동의 실천과 정책 제안을 진행하는 청년주권평화워크숍 YEPW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만희 HWPL 대표는 후대에 자유와 평화를 안겨주기 위해 참여자들이 평화의 사자가 될 것을 호소했다. 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전쟁이 발발됐다. 이래서 HWPL의 평화 가족들은 국제법 제정을 하자고 한 것이었다. 이대로 있으면 또 전쟁이 일어날 우려가 있으니 국제법을 제정하자고 한 것으로, 지구촌 법 전문가들을 모아서 국제법 제정 10조 38항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교육자들의 평화 관련 활동도 소개됐다. 학생들이 세계 여러 곳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평화 활동을 관찰하고 자료를 읽음으로써 평화를 경험할 수 있는 가상세계 플랫폼으로서 메타버스를 이용한 교육 방법론이 (실물로) 설명됐다.
행사의 언론 리포트에서 수팔락 간자나쿤디 전 더 네이션(태국) 편집장은 “평화의 기반은 평화 프로세스에 시민사회의 참여를 허용하는 열린 공간으로서 기능하는 민주주의와 깊은 연관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항구적인 평화로 이어질 수 있는 평화 프로세스를 위해선 그 근본 원인에서 문제를 다루어야 하며, 이해 당사자들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의 집중적인 참여로 민주화를 따라 진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HWPL은 DPCW에 대한 국제기구의 지원과 평화 실현을 위한 국제 규범 강화에 협력함으로써 국제적 차원과 국가적 차원에서 평화를 위한 범지구적 협력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HWPL은 시민단체와 함께 평화 정착을 위한 공익 활동을 펼치고 있다.
황선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