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환 고양시장 당선인, 관내 하수처리장 등 시설 점검 후 개선 당부
악취나 소음, 매연 등으로 민원이 끊이지 않았던 경기도 고양특례시 내 기피시설들의 변화가 기대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은 지난 20일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와 백석동의 ‘환경에너지시설’을 둘러본 후 환경개선을 당부했다.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시설이전’을 검토하면서도, 당장의 민원 해결을 위한 시설·환경 개선 또한 서둘러달라는 내용이다.
이 당선인은 “장기적으로 서울시 기피시설을 이전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단기적으로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면서 복개 공원화와 지하화 등을 위한 행정적인 절차와 기간을 단축시키고 사업이 조속히 시행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2012년 5월 고양시와 서울시가 체결한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하수처리장 복개 공원화와 분뇨처리장 지하화가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다만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지하화는 난항이 예상된다.
현재 난지물재생센터에는 하수처리장과 분뇨처리장, 슬러지처리시설이 가동되며 심한 악취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합의문에 근거해 기본설계 용역이 진행 중이며, 시설지하화는 2025년 공원화는 2028년 준공예정이다.
문제는 2018년 12월 고양시 결정에 따라 운영이 중단된 ‘서대문구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이다. 서울시는 하루 300톤의 음식물류와 50톤의 분뇨를 처리한 후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설을 지하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
이와 관련 이 당선인은 “기피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반대가 강하다”면서 “시설 추가나 시설을 동의할 수는 없다. 중장기적으로는 이전 등 최적의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대기오염물질과 악취, 소음 등을 줄일 방안을 강구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앞으로 고양시는 님비(NIMBY)시설이 핌피(PIMFY)시설이 될 수 있도록 지원책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이 당선인인 난지물재생센터에 이어 고양환경에너지시설을 찾아 시설 노후화와 주거지역과의 인접성 등에 따른 문제해결을 위한 대책도 주문했다.
고양=오준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