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 창릉신도시 개발 방향이 기존 베드타운에서 자립 도시로의 변화가 예고된다.
14일 고양특례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따르면 LH는 서울시의 인구과밀을 해소하고 주택가격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 창릉신도시에 공동주택 3만8천가구를 공급키로 했다.
이런 가운데, 시는 최근 LH 고양사업본부에서 비공개로 열린 창릉신도시 도시개발계획 보고회에서 LH의 창릉신도시 지구계획 전반에 대해 개발 방향을 바꾸라고 주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 고위 관계자는 주택가격 안정과 인구과밀 해소 등을 위한 베드타운 개발이 아니라, 고양 자립을 견인하는 ‘기업친화적’ 도시를 만들어야한다는 주장이었다고 설명했다.
핵심은 3만8천가구라는 주택수는 절반 가량 대폭 낮추고 용적률과 집중도를 높여 주거지를 밀집하는 한편, 이를 통해 추가확보가 가능한 용지들을 자족용지로 변경·배분, 다수의 기업들이 들어올 수 있는 지역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문제는 변화를 준비할 시간이 촉박하다는 점이다. 이미 토지보상이 지난 2월부터 이뤄지기 시작했으며, 15일에는 창릉 S1·S4 지구에 대한 사전청약 모집공고도 나올 예정이다. 다음달에는 정부의 3기 신도시 도시개발계획도 발표될 예정이다.
시 고위 관계자는 “기존의 신도시 건설이 서울의 위성도시화되며 교통혼잡 등 많은 문제를 낳았다”며 “특히 고양은 자족기능이 여타 도시들보다 부족해 심각한 상황이어서 단순한 주택공급이 아닌 자족기능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계적 흐름 또한 기업의 자국 복귀, 수도권 회귀가 활발해지는 추세다. 편하고 좋은 환경에서 뛰어난 인재를 구하기 위한 이유”라면서 “창릉신도시가 자족도시로 꾸려진다면 기업이 바라는 환경을 만들고 고양시의 교통체증 등 여러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이동환 시장과 이춘표 제2부시장 등을 비롯해 이정형 시장직 인수위원 경제2분과장(중앙대 건축학과 교수) 등 인수위 참여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고양=오준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