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는 끝났지만… 여전히 시끄러운 고양시 정계

정치 시민단체들, 6·1지방선거 공천 논란 재조명하며 ‘탈중앙화’ 촉구
선거 과정의 문제점 지적한 ‘시민백서’ 발간… 당협위원장들 ‘정조준’

image
고양시 소재 정치시민단체 모임인 ‘고양희망연대’가 22일 6.1지방선거 과정의 문제점을 담은 ‘제8회 고양시 지방선거 시민백서’를 발간하고, 지역정계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오준엽기자

6·1지방선거로 당선된 이들이 본격적인 임기를 시작했지만, 고양시 정계는 선거과정에서 불거진 잡음들로 여전히 시끄럽다. 특히 각 정당의 당협위원장들을 저격하는 모습도 연출되고 있다.

고양자치발전시민연합·21C고양시민포럼·P-플랫폼.고양·도시개발비리조사위원회 등 고양시에 뿌리를 둔 정치시민단체 4곳이 ‘고양희망연대’라는 연합체를 구성하고 지난 22일 ‘제8회 고양시 지방선거 시민백서’ 발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이 발간한 백서에는 지난 지방선거 과정 고양시에서 벌어진 공천과정의 논란들을 비롯해 당협위원장 혹은 중앙당의 권력자들에 의해 좌우되는 지방선거판의 문제점 등을 기술하고 있다.

당원은 물론 당협 사무국장을 비롯한 여러 당직자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허위이력까지 만들어 비례대표 후보를 내세웠다는 의혹에 휩싸이거나, 특정 후보를 당선지역 당선권에 넣기 위해 다른 후보를 타 지역구로 공천해 논란이 된 인물 등의 이야기가 대표적이다.

이와 관련 연대는 “이번 지방선거는 잘못된 당협위원장들의 공천권 남용 또는 은밀한 공천권 거래을 의심받을 만한 행동으로 유권자들을 우롱했다”면서 “고양시에서는 모양만 지방선거지 중앙당이 임명한 공직자를 추인하는 형국이 벌어졌다”고 꼬집었다.

이어 “정당공천은 당선이라는 공식 아닌 공식의 선거풍토는 지방자치 발전에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역정당 설립이 가능하도록 정당법과 관련 규정 개정 △공천부정을 근절할 실천적 방안 마련 △공천 및 선거실패에 대한 책임을 묻는 평가제 도입을 요구했다.

아울러 △지역선거구 재정자립을 위한 당비 재분배 비율 확충 △당무평가에 따른 정당보조금 배당의 합리적 방안 마련 △인위적 가점제 개선 및 정당의 민주화·분권화 실현 △시의원 후보의 정당공천을 배제한 중선거구제 전환 △공정경선 규정 무시한 당협위원장 처벌도 촉구했다.

고양=오준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