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 36일간의 대장정 ‘자립성 강화’ 방점찍으며 마무리 일자리·교통·주거환경 등 8대 분야 62개 과제 제시… 실현가능성은 ‘미지수’
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가 고양시의 ‘자립성 강화’를 시정의 핵심 정책방향으로 결론내리며 36일 간의 활동을 마무리했다.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위원장 김수삼)는 27일 ‘인수위 활동결과 보고서’를 이동환 시장에게 전달했다. 보고서는 1달여간 20여 개소의 현장점검과 이에 이은 분과별 워크숍 26회, 전체 워크숍 5번을 거쳐 도출한 8대 분야 62개 정책과제가 담겼다.
이들이 판단한 고양시의 문제점은 ▲낮은 재정자립도 ▲부족한 일자리 ▲낮은 청렴도 ▲서울 등지로의 교통혼잡 ▲난개발과 노후화 등 열악해진 주거환경 등이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으로는 ▲혁신행정 ▲창의행정 ▲소통행정 ▲3안행정을 내세웠다.
인수위 보고서는 ‘행정조직의 혁신과 창의적 접근을 통한 시정의 효율화, 시민이 중심이 된 열린 행정과 대응, 이를 바탕으로 일상이 안전하고 노후가 안심되고 민생이 안정되는 자립도시를 만들어나가야한다’는 내용이 전반에 깔렸다.
김 위원장은 “고양시는 서울 인천을 비롯한 여느 도시보다 좋은 환경을 갖춘 도시로 그간 만들어온 복지와 환경 등 의미있는 진전들을 바탕으로 이제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수많은 인재가 몰려드는 글로벌 도시가 될 수 있다”면서 과제의 충실한 이행을 당부했다.
이동환 시장은 “시민이 원하는 정책을 실현할 도시, 미래 고양의 모습을 만들 것”이라며 “기업유치를 1순위 목표로 삼고 규제개선에 힘쓰겠다. 그 일환이 경제자유구역이라고 보고 취임 후 1호 조직으로 경제자유구역추진단을 만들었다. 경기도 등과도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했다.
그렇지만 ▲경제특례시 대전환을 위한 시정혁신과 재원확보 정책브랜드화 ▲글로벌 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경제자유구역 추진 ▲살고 싶은 도시, 머물고 싶은 도시, 이동이 편한 도시 ▲시민의 삶이 풍요로운 행복도시라는 목표를 실현할 과제가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고양=오준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