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재점화 ‘기피시설 이전전쟁’ 확산 조짐

한준호 고양을 국회의원 위시한 고양시 시·도의원들, 참전 선언
레미콘공장·폐기물업체 이전 받고 서울시 기피시설 서울로… ‘맞불’

더불어민주당 한준호 국회의원(고양시을)을 비롯해 고양시에 뿌리를 둔 시도의원 7명이 29일 오전 고양시의회에서 고양시 소재 서울시 기피·혐오·피해시설의 이전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사진=오준엽

박강수 마포구청장이 지난 27일 ‘고양현천 공공주택지구 지정 추진 전면 백지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자 고양특례시 소속 정치인들이 맞대응에 나서며 사안이 확대됐다.

마포구가 요구한 레미콘 공장과 폐기물 수거장 등의 이전 문제를 넘어 고양시에 위치한 서울시의 모든 기피·혐오시설의 이전 및 환경개선, 나아가 시민피해에 대한 보상까지 얹혔다.

전면에는 서울시와 지역구 대부분이 면하고 있는 한준호 국회의원(고양시을)이 나섰다. 한 의원은 29일 오전 고양시의회에서 서울시의 기피시설 이전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졌다.

회견내용은 마포구청장이 먼지와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고양시 현천동 인근 레미콘 공장과 고철·파지 수거업체 등의 이전을 요구한 것에 공감하는 만큼 서울시도 고양시의 기피·혐오시설을 이전하는데 동의하고 적극적인 검토를 해야 할 것이라는 주장이 핵심이다.

대표적인 고양시 소재 서울시 기피·혐오·피해시설들로는 ▲난지물재생센터 ▲은평버스차고지 ▲은평광역자원순환센터를 꼽았다. 이들 시설로 인해 지난 36년여간 고양시민들은 피해에 시달렸지만, 서울시는 별다른 대책이나 보상은 하지 않고 잇속만 챙겼다는 질타도 함께 였다.

이와 관련 한 의원은 “서울시는 고양시민의 피해엔 나몰라라 외면하고 꼼수로 시설을 짓고 운영하며 정작 고양시민에겐 편의를 제공하지 않는 등 문제가 많다”며 “결국 행정적 문제인 만큼 두 도시가 사안을 함께 펼쳐놓고 명확히 협상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명재성·이경혜 경기도의회 의원과 송규근 고양시의원 등 6명의 시·도의원도 자리해 힘을 실었다. 이들은 향후 고양시가 난지물재생센터 등 서울시의 기피·혐오시설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감시와 견제를 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고양=오준엽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