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가 원 도심 재생사업 등 자족기능을 갖춘 300억 규모 투자의 도시개발 공사 설립 추진이 시의회가 부결 시키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4일 안성시와 시의회, 시민들에 따르면 시는 내달 1일 수도권 남부지역 개발 수요 증가에 대비한 도시 재정비와 개발을 위한 안성도시공사설립 출범을 추진했다.
공사 설립은 시가 시민 공모주로 개발 이익을 시민에게 환원하고 새로운 도시발전 패러다임을 구축하고자 시설관리공단을 안성도시공사로 조직변경 한다.
하지만, 시의회가 임시회를 통해 공사설립을 시와 어떠한 뚜렷한 논의도 없이 표결로 부결시켜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도시발전 계획을 저버렸다는 지적이다.
국민의힘 시의원들이 시가 제시한 조례규칙심의회 제안 설명 등을 보고 받은 상태에서 공사 설립 자체를 사전에 부정하고 부결을 당론으로 정했기 때문이다.
공사 설립 차질로 시가 현재 개발 수요에 대비한 제2경부고속도로, 수도권 내륙선 철도, 반도체 첨단산업 유치, 택지개발, 역세권, 시민청 건립, 유천·송탄 취수장 해제 건 등의 현안이 차질을 빚게 됐다.
이에 따라 시민들은 안성지역이 인근 평택시와, 이천시, 용인시 개발 수요를 따라 잡기 위해 공사 설립이 필요하다는 입장의 여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시가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한 결과 공단의 도시공사 전환 찬성에 대해 73%에 달하는 것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기대치를 높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K씨(65·시민)은 “도시가 정비되고 주민 일자리도 창출되면서 수십년간 낙후된 안성을 일으켜 세워야 하는 것 아니냐. 지역발전의 밑거름이 될 청사진을 막는 것은 의회가 잘못됐다”고 꼬집었다.
이에 A 시의원은 “이미 도시공사 설립은 당론으로 정해져 있어 부결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시가 제출한 일부 삭감한 예산은 살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내 공사 설립 운영은 양평군이 2008년, 의왕도시공사 2011년, 구리도시공사 2012년이며 공단을 공사로 변경하는 지역은 이천시와 여주시가 현재 용역 중이 있다.
안성=박석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