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특례시가 통장 제도를 활용해 ‘수원 세 모녀’ 사건과 같은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공고히 했다.
4일 수원특례시에 따르면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지난 2일 시청 대강당에서 열린 9월 월례조회에서 해당 사건을 언급하며 “힘겹게 살았던 세 모녀를 제대로 돌봐드리지 못해 송구스럽고, 수장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사과했다.
이어 “마을 공동체가 복지를 다루는 ‘공동체 통합돌봄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겠다”며 “마을 곳곳을 다니는 통·반장, 수도검침원, 배달원 등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하고, 이들과 복지 사각지대를 발굴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도시의 이장’이라 불리는 통장<경기일보 2일자 4면>들이 ▲지역 여론 수렴 ▲민방위 훈련 통지서 전달 등의 행정보조 업무로 주민들을 잘 아는 만큼 이들을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이는 ‘시민의 손으로 도시를 만든다’는 이 시장의 시정 철학과 부합한다.
이 시장은 “시민들의 집단지성을 바탕으로 시정을 운영하면 정책의 효과가 한결 커지고, 단단해진다”며 “모든 부서는 사업을 추진하기 전에 시민의 의견을 충분히 들어야 한다. 시민들 역시 적극적으로 시정에 참여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수원지역 통장 정원은 총 1천613석이다. 코로나19 사태와 단절된 사회 분위기로 통장들의 활동이 위축되자 전문가들은 지방자치단체가 이들의 사기 진작 방안을 고민해 통장들이 복지 사각지대 해소 최일선에 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