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전면 재검토 중인 신청사 건립방향의 가닥이 잡혔다.
신청사 건립안은 신청사 건립추진단이 최근 주최한 ‘시민 중심의 효율적 신청사 건립을 위한 포럼’을 통해 처음 공개됐다. 발표에는 신청사 건립 재검토 TF위원장인 이정형 중앙대 교수가 나섰다.
이 위원장에 따르면 신청사는 크게 2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로 이미 선정된 부지(주교동 제1공영주차장 맞은편 부지 7만3천900㎡)에 건물 규모만 절반 이하로 줄여 흩어진 행정사무공간을 합치고 2단계로 복합청사를 대곡역세권에 또 지어 재이전하는 방안이 논의된다.
건립안대로면 현재 40년 된 청사는 유지되고 예정된 부지에 1만6천530㎡ 규모로 신축될 신청사에는 현재 11곳에 분산된 업무시설이 모인다.
소요비용은 토지매입비 500억원과 건축비 400억원, 설계비 등 기타 부대비용 100억원 등을 모두 포함해 1천억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시의회 포함 사무공간만 2만9천500㎡이 넘고 비용추계상 3천500억원 이상 소요될 기존 설계를 대폭 축소했다.
신청사 부지를 놓고 대립해 온 일산 주민과 덕양 주민 요구를 일부 충족해 갈등을 최소화하고 이동환 시장의 공약인 ‘‘민자유치를 통한 복합개발로 비용 부담 없는 신청사 건립’을 부분적으로 이루는 방식이다.
주민 의견은 갈린다. 신청사 부지와 비용절감을 위한 설계변경, 단계별 이전 등 각각에 대한 입장이 모두 상충했다. 당장 지역통합을 위해 대곡역세권에 지어야 한다는 주장과 낙후 지역 개발 촉진을 위해 주교동에 지어야 한다는 주장도 여전히 충돌했다.
비용문제도 입장이 달랐다. 비용절감 방안에 대해 동의하는 주민들도 있지만,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 중심으로 인건비 및 자재비 상승으로 건립비가 500억원 이상 늘어도 예산으로 충분히 가능한만큼 원안을 고수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별관 등 업무시설 11동을 먼저 이전한 후 또 다른 청사 후보지를 선정해 새 건물을 짓고 본청 등이 모두 옮기는 단계별 이전이 오히려 비용을 증가시키고 비효율적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일각에선 시청업무를 구청으로 이관하고 1단계 신청사에 모두 집결하자는 제안도 냈다.
이 위원장은 “여러 의견을 듣고 재검토해 다시 토론하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고양=오준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